이상건·주건 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은 “뇌전증 환자와 동물모델에서 ‘마이크로RNA-203’ 발현량이 증가해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억제하는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성공했다”고 1일 밝혔다.
‘마이크로RNA-203’이 많아지면 신경세포 활성 억제에 관여하는 또 다른 물질(글라이신 수용체 베타 서브유닛)의 발현을 방해해 신경세포가 과하게 증가함으로써 뇌전증 환자가 발작에 이른다는 것이 연구진의 분석이다.
주건 교수는 “마이크로RNA-203을 억제하는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한 후 뇌전증 환자의 코로 분사 투여해보니 발작 발생빈도가 70% 이상 억제됐다”며 “ 약물 투여 후 발작 억제 효과 지속시간이 2주 이상 간다는 사실도 입증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현재 이번 연구를 토대로 개발된 신약 후보물질을 임상시험단계로 진입시키기 위해 추가연구에 들어간 상태다.
인구 1,000명당 6.5명이 앓고 있는 뇌전증은 매우 흔한 신경계 질환이지만 아직 근본적인 치료 방법은 없는 상태다.
연구진에 따르면 뇌전증 환자의 60%는 항 뇌전증 약물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나 장기적인 약물 사용으로 막대한 경제적 부담과 심각한 약물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크다.
뇌 절제수술을 통해 호전을 보이는 경우는 있으나, 재발 위험은 물론 뇌 절제에 따른 정신적·생리적 고통이 뒤따르고 있다. 따라서 수술이 아닌 치료제 사용으로 약물내성을 막고 동시에 근본적 치료가 가능한 치료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주 교수는 “뇌전증은 유전적으로도 생길 수 있으나 대다수는 심한 뇌 손상·스트레스·바이러스 감염·면역체계 붕괴 등 여러 가지 자극들로 인해 유발된다”며 “앞으로 이 기술이 제품화·상용화되면 뇌전증 치료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민정기자 jeo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