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공매도 공시제도 시행 첫날인 지난달 30일 국내 증시에서 금액 기준 공매도 비중은 2.7%로 올해 평균 공매도 비중인 4.61%보다 크게 낮았다. 시행 직전일인 지난달 29일의 공매도 비중은 2.56%로 올 들어 가장 낮았다.
공매도 감소는 코스피에서 두드러졌다. 코스피에서의 공매도 비중은 3.51%(29일)와 3.98%(30일)로 올해 평균 비중인 6.58%보다 약 3%포인트 낮았다. 지난 1월 코스피 시장에서의 평균 공매도 비중은 7.42%로 2004년 거래소가 공매도 관련 자료를 전산화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바 있다. 코스닥에서의 비중은 1.43%(29일)와 1.11%(30일)로 올 평균 비중인 1.90%와 큰 차이가 없었다.
공매도란 주가가 앞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해 주식을 빌려서 미리 판 후 주가가 하락하면 해당 주식을 사 공매도분을 상환해 시세차익을 얻는 투자기법이다. 이 때문에 공매도는 주가 하락을 부추긴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증권가는 외국인·기관투자가가 공매도 공시제도에 부담을 느껴 거래가 줄어든 것으로 보고 있다.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전체 투자자가 외국인 73.06%, 기관 25.33%, 개인 1.60%로 외국인과 기관이 대부분을 차지해 그동안 개인 투자자들의 공분을 샀다. 올 초에는 개인 투자자들이 공매도에 항의하며 주식 대여(대차)를 하지 않는 증권사로 계좌를 옮기는 운동을 벌이기도 했다.
개인 투자자들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개인투자자는 “공매도 제도는 외국인과 기관이 공매도를 통해 수익을 얻는 만큼 개인 투자자들은 손해를 보는 구조”라며 “공매도가 줄어들면 개인 투자자들이 입는 피해도 함께 줄어들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개인투자자도 “그간 개인투자자들은 누가 공매도를 하고 있으며 규모가 어떤지 등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지 못했는데 앞으로 공매도와 주가 추이를 분석해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김연하기자 yeona@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