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총리, 질문을 받으세요" "기자들 불러놓고 뭐하시는 겁니까"
1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4동 합동 브리핑실이 때아닌 고성으로 가득 찼다. 준비된 원고를 읽자마자 서둘러 자리를 떠나는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을 향해 쏟아진 기자들의 항의였다. 같이 소리치지는 않았지만 질의응답을 하려고 기다렸던 다른 기자들도 허탈하기는 마찬가지였다.
유 경제부총리는 취임 직후 언론과의 소통을 강조해왔다. 유 부총리가 취임 직후 처음 주재한 기획재정부 확대 간부 회의의 일성도 소통이었다. 그는 "우문현답(愚問賢答)에서 한 발짝 더 나아가 현문현답(賢問賢答)의 자세로 현장과 소통해달라"고 주문했다. 정책을 만들고 집행하는 단계에서 현장의 문제를 경청하고 현장에서 문제의 답을 찾으려 노력하라는 얘기였다.
그러나 브리핑 직후 질의응답도 없이 퇴장한 한 가지 사례만으로도 언론과의 소통에 대한 그의 입장이 밝혀진 것 같다. 이날 예정된 오찬에서 궁금한 것을 물어보라는 게 기자들의 항의에 대한 관계자들의 답변이었다. 하지만 전체 기자단에 공개된 브리핑과 몇몇이 주변에 둘러앉은 식사 자리에서 나오는 질문과 답변은 질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다.
이날 브리핑은 휴일인 일요일 저녁 대변인실의 문자 공지를 통해 공지됐다. 그만큼 임시국회를 앞두고 정부의 상황이 긴박했다는 얘기다. 유 부총리는 국민이 선택한 대통령과 정부가 제대로 일을 하고 싶은데 국회가 입법에 나서지 않는다고 국민들에게 호소했다. 그러나 담화는 정부 입장을 몇몇 장·차관 배석한 채 설명하는 것에 그쳤다. 기존 입장과도 달라진 게 없다.
언론은 정부의 발표에 대해 국민을 대신해 묻고 전달한다. 하지만 이날 유 부총리는 국민의 질문을 받지도 않았다. 대국민 담화문인데도 정작 국민과의 소통은 없었던 셈이다. 소통 없는 일방적 전달은 호소력과 진정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질문 받기가 두려운 건가 아니면 담화 내용의 영양가가 없어서인가. 박근혜 정부의 대국민 소통 방식을 유 부총리를 통해 다시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경제부=김정곤기자
mckids@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