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했던 이산가족 문제의 경우 영상편지 전달, 생사확인 명단 교환 모두 차질을 빚고 있다. 대한적십자사는 지난해 우리 측 이산가족 1만명의 영상편지를 제작해 올해 정부와 협의를 거쳐 북한에 전달할 계획이었다. 또 남북 이산가족의 생사확인을 위한 명단 교환 작업도 진척이 없는 상태로 알려졌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은 20일 정례브리핑에서 “이산가족 문제는 시급한 인도적 현안이기 때문에 해결을 위한 노력을 일관되게 계속해 나가겠다는 게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며 “이산가족 영상편지 제작, 유전자 검사, 국제사회의 협업 네트워크 구축 등 내부적으로 할 수 있는 부분들은 계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산가족 문제와 관련해 북한에 협의 등을 제안할 지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선을 그었다. 최근 북한 관련 여론을 감안하면 정부가 북한에 대화를 제안할 상황은 아니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남북한을 비롯해 중국, 우즈베키스탄 등 6개국 대표팀이 참여하는 국제 유소년 축구대회는 올해 1월 중국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정부의 남북 교류 제한 조치의 영향으로 취소됐다. 이 행사는 지난해 8월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로 군사적 긴장이 높아졌던 상황에서도 평양에서 진행됐다.
일각에서는 남북 교류의 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정부 내에서 남북 교류를 담당하는 통일부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박경훈기자 socool@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