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북한이 6일 전격 단행한 4차 핵실험에 대해 전문가들은 핵 능력 과시를 통해 '김정은 시대'가 본격 개막했음을 알리는 선전포고라고 해석했다. 또 외교적으로는 북한이 미국을 향해 평화협정 체결을 촉구하는 한편 중국을 주도적으로 길들여보겠다는 '공세적 흥정' 전략을 취한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문순보 자유민주연구원 안보전략연구실장은 "수소폭탄 실험을 통해 핵기술 수준이 상당히 고도화됐음을 과시하는 한편 '축포'를 쏘는 시점을 생일 이틀 전으로 잡아 '김정일 시대'와 결별하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드러낸 것"이라고 진단했다.
문 실장은 "전례를 감안하면 북한이 이번에도 수개월 안에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실험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장거리 미사일 발사 시점으로 오는 2월8일 전후 또는 4월25일 전후를 유력하게 전망하고 있다. 2월8일과 4월25일은 각각 조선인민혁명군과 조선인민군의 창건기념일이다. 이와 관련, 김용현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남북관계가 최소한 올 상반기까지는 급랭기를 거칠 것이라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이번 4차 핵실험은 미국과 중국·일본 등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사회에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던지기 위한 북한의 의도된 도발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김 교수는 "미국이 대선 국면에 접어들어 북미 대화에 나올 기미를 안 보이는 가운데 북한이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군사 능력을 과시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문 실장도 "중국이 지속적으로 북한에 '러브콜'을 보내는 와중에 도발을 단행한 것은 '중국을 길들이겠다'는 경고로 봐야 한다"며 "미중에 대해 일종의 '공세적 흥정' 전략을 취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국제사회 압박을 위한 북한의 노력이 실효를 거두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통일전략연구실장은 "북한의 평화협정 체결 목표와 달리 미국이 실제 대화에 나설지는 의문"이라고 전망했다. 문 실장은 "과거 미국 정부는 임기 말에는 업적을 남기기 위해 대북 유화책을 쓰는 경우가 많았는데 버락 오바마 정부는 4차 핵실험을 계기로 대북 강경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 때문에 "김정은의 방중 역시 당분간은 쉽지 않을 것(김용현 교수)"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다만 'G2 국가'로서의 위상을 감안하더라도 중국이 적극적인 북한 제재에 나서기는 힘들 것이라는 의견이 많다. 정 실장은 "남중국해 문제로 미국과 불편한 관계인 중국은 북한의 핵 개발에 비판적이지만 '고강도 제재'에는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고 점쳤다.
/나윤석·박형윤기자 nagija@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