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은 8·15 광복 64주년 경축사에서 집권 중반기 국정운영 구상을 내놓는다. 지난 6월15일 국민ㆍ사회통합 방안으로 ‘근원적 처방’이 필요하다고 한 지 딱 2개월여 만이다. 이날 제시할 이 대통령의 집권 중반기 국정운영 기조의 핵심 키워드는 중도실용과 통합이다. 이 대통령은 그동안 근원적 처방과 관련해 국면 전환을 위한 일회성이 아닌 근본적인 대책임을 수차례 강조했다. 따라서 8ㆍ15 광복절 이후 이 대통령의 집권 중반기 국정운영은 지역ㆍ이념ㆍ계층 간 통합을 위한 행보를 구체화하면서 이와 관련한 민생ㆍ친서민 정책과 정치개혁 작업을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구상은 이르면 이달 안에 단행될 내각과 청와대 수석진 개편 등 인적쇄신에서 구체화될 예정이다. ◇인적쇄신 이르면 이달 하순부터 시작할 듯=내각 및 청와대 수석진 개편은 당초 광복절 이전까지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계속 늦어지고 있다. 인물난에다 개각의 폭과 시기ㆍ방향에 대한 이 대통령의 고민이 깊다는 얘기가 청와대 안팎에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 대통령이 8ㆍ15 경축사에서 집권 중반기 국정운영 방향을 천명한 만큼 인적 개편 작업은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인적 개편은 우선 국회 인사청문을 거치지 않는 청와대 수석진을 먼저 개편하고 다음에 총리 등을 포함한 내각 개편을 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혀졌다. 인적 개편의 핵심인 총리 인선 문제가 쉽지는 않지만 이 작업이 거의 막판에 달했기 때문에 다음주 을지훈련이 끝나는 이달 하순부터 순차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인들을 행정부에 포진시켜 정치권과의 소통의 폭을 넓히면서 국정장악력을 높여갈 것이라는 분석이 유력한 가운데 친박(친박근혜) 인사의 입각 가능성이 확실시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인적 개편 이후 올해 중으로 노사관계 선진화, 공공기관 개혁, 기업구조조정 등 핵심 국정과제도 큰 틀에서 마무리한다는 구상이다. ◇대북정책 기조는 유지할 듯=이 대통령은 경축사에서 정치·경제·군사·안보 분야 등 다방면에 걸쳐 폭넓은 제안을 할 예정이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면 경제ㆍ교육ㆍ재정ㆍ인프라ㆍ생활향상 분야 등의 지원에 적극 나설 것이라는 점도 밝힌다. 따라서 앞으로 대북정책은 기존 기조를 유지하면서 북한을 좀 더 적극적으로 대화로 유도하는 쪽으로 갈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오랫동안의 강경기조에서 선회하고 있다는 점도 이 대통령의 행보와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이 대통령은 지난 대선기간 중 핵 폐기를 전제로 한 ‘비핵·개방·3000 구상’을 내놓았다. 여기에는 북한 지역 내 5대 자유무역지대 설치와 연 300만달러 이상 수출 가능한 100개 기업 육성, 경제·금융·기술 전문인력 30만명 양성, 400억달러 상당의 국제협력자금 조성, 신경의고속도로 건설, 한강 나들섬 등의 대형 구상이 포함돼 있다. 따라서 남북관계가 개선되면 금강산 관광 재개와 함께 이 같은 대형 구상들이 구체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친서민 행보 구체화한다=앞으로 친서민정책에 대해서도 이 대통령은 활발한 정책행보를 할 것으로 보인다. 경축사에서 소득ㆍ고용ㆍ교육ㆍ주거ㆍ안전 등 ‘국민민생 5대 지표’를 제시하는 만큼 이 지표를 구체화하는 정책행보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앞으로 내놓을 내년 예산안과 세제개편안 등에는 이 같은 친서민정책이 구체화될 것으로 보이며 오는 9월 정기국회에서 입법작업을 거쳐 내년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디어법 통과 이후 냉랭한 여야 관계와 10월 재보선 등 정치일정 등에 따라 국회 상황이 유동적일 수도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