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7년 6월29일 부산항. 230톤급짜리 어선 지남호(指南號)가 제1부두를 빠져나왔다. 한국 최초의 원양어업을 위한 출어 순간이다. 지남호는 1946년 미국이 해양조사선으로 건조한 워싱턴호를 한국 정부가 32만달러에 매입한 뒤 수산회사인 제동산업에 불하한 선박. 크기는 작아도 냉장시설과 수심탐지기ㆍ어군탐지기 등 최신장비를 탑재하고 있었다. 이승만 전 대통령도 이 선박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남쪽 바다에서 돈을 벌어 오라’는 의미를 담아 ‘지남호’라는 이름을 붙여줬다. 국가적인 관심 속에 출항한 지남호는 풍랑보다 더한 곤경을 겪었다. 가장 큰 문제는 무지. 막연히 돈이 되는 고급 어종을 낚는다는 생각만 앞섰을 뿐 어떤 어종을 어떻게 잡는지는 전혀 몰랐다. 선원 17명 가운데 유일한 경험자인 외국인 고문은 연승 낚시줄을 던지는 시범 도중에 허리를 다쳐 중도에 하선한 상태. 지남호는 47일을 헤맨 끝에 인도양에서 처음으로 새치를 낚아올렸다. 출항 108일 만에 부산항에 돌아온 지남호에는 실질조업 15일 동안 잡은 10톤의 어획물이 실려 있었다. 가장 상태가 좋은 세마리를 선물 받은 이 전 대통령이 주한 외교사절단을 초청해 참치를 선물할 만큼 지남호의 시험조업 성공은 국가적 경사였다. ‘참치’라는 이름이 정해진 것도 ‘진짜 좋은 물고기’라는 의미에서 이 무렵 정해진 것으로 전해진다. 지남호는 이듬해 초 남태평양으로 출어해 1년3개월간 150톤의 어획고를 올리며 ‘원양어업=확실한 돈벌이 수단’이라는 인식을 심어줬다. 원양어업의 최절정기는 1970년대 후반. 한때 859척의 원양어선단을 보유해 세계 2위권까지 넘봤으나 2007년 말 478척으로 줄어든 상태다. 고유가로 채산성이 떨어진 최근에는 원양어선이 더욱 빠르게 줄어드는 추세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