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약수터의 최근 5년간 음용 부적합률 평균(35.8%)을 두 배 이상 웃도는 것으로 많은 비가 짧은 시간 동안 약수터로 몰려들면서 토양 여과 과정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집중호우기간 약수터 물에서 주로 발견된 미생물은 일반세균과 총 대장균군, 분변성 대장균군 등으로 사람이나 동물의 배설물에서 비롯된 것이다.
해당 약수터는 2주 뒤인 8월 하순 재검사 결과 부적합률이 56.3%로 감소했으며 약 3개월이 지난 11월 중순에는 부적합률이 37.5%로 평상시 수준을 되찾았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여름철 장마기간에는 약수터 이용을 가급적 자제하고 음용 적합 판정을 받은 약수터 물만 이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