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J는 5월30일 서울발 기사에서 칸티봉 소믈리쓰 주한 라오스 대사관 공사의 말을 인용해 한국 측이 라오스에서 체포된 탈북 청소년들에 대한 면담 요청을 하지 않았다고 보도한 바 있다.
칸티봉 공사는 31일 "주라오스 한국대사관이 탈북 청소년에 대해 공식적으로 면담을 요청했었다"며 "(WSJ에 보도된 것과 같이) 말하지 않았으며 그 코멘트는 잘못 보도됐다"고 밝혔다. 그는 뒤이어 "9명의 한인이 불법 입국해 라오스 경찰에 체포됐을 당시 우리는 그들이 남한에서 왔는지 북한에서 왔는지 몰랐다"며 "이들 9명이 수도 비엔티엔으로 이동했을 때 라오스 외교부는 남북한 대사관 모두에게 그들의 억류에 대해 알려줬다"고 말했다. 라오스 경찰은 이후 이들 9명이 북한 주민이라는 사실을 확인해 북한 공관에 넘긴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또한 WSJ의 보도가 사실무근임을 강조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체포 당일인 5월10일 한국인 안내인으로부터 탈북 청소년이 체포된 사실을 인지해 라오스 중앙정부에 알렸다"며 "그날 현지 공관에서 라오스 이민국 국장과 만나 탈북 청소년과의 면담을 주선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다. 당시 라오스 이민국장은 "현장에 간다고 되는 것은 아니니 기다려달라"고 말해 면담이 불발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우리 외교부가 이들 탈북자 9명의 문제 해결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향후 청와대로부터의 문책은 불가피해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은 이들 9명의 북송 사실을 보고받고 난 뒤 "아쉽고 마음이 아프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주 재외공관장 초청 오찬에서 "동포들의 어려움을 재외공관에서 도와주지 않으면 재외공관의 존재 이유가 없는 것"이라고 강조하는 등 재외동포의 어려움에 각별한 관심을 표하고 있다.
한편 마르주끼 다루스만 유엔 북한 인권 특별보고관이 5월30일(현지시간) 탈북 청소년 9명의 안전 보장을 북한 당국에 촉구하는 등 이번 사안과 관련해 국제사회의 관심도 커지고 있다. 다루스만 보고관은 "라오스 정부가 이들을 보호해야 할 책임을 저버린 데 대해 매우 실망했다"며 "이들이 북한에서 받게 될 처벌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관련 당국은 이들을 보호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