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아베 총리의 방미 형태는 '공식방문'이지만 '국빈방문'과 동일한 수준의 파격적 예우가 제공된다. 우선 방문 기간이 8일로 보통 정상들의 체류 기간인 4~5일에 비해 훨씬 길다. 아베 총리가 첫발을 내딛는 앤드루스 공군기지에서는 19발의 예포가 발사될 것으로 알려졌다. 국가원수가 아닌 행정수반인 탓에 국빈방문(21발)보다는 두 발 적지만 미군 의장대의 사열까지 준비돼 있다.
환대는 28일 정상회담을 앞둔 백악관에서도 이어진다. 아베 총리 내외가 백악관 남쪽 뜰에 도착하면 기다리고 있던 버락 오바마 대통령 내외로부터 환영을 받고 이어 백악관 북쪽 노스 포르티코로 이동해 공식 만찬 행사에 참석할 예정이다. 2009년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한 후 외국 정상을 위한 백악관 공식 만찬은 2011년 이명박 대통령의 국빈방문을 포함해 모두 일곱 차례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양국 관계의 격상을 결정적으로 보여주는 일본 총리 사상 최초의 상·하원 합동연설도 29일 예정돼 있다.
반면 위안부 사과를 비롯한 인권문제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과 같은 통상 문제를 두고 미국 내에서 반대 여론이 불면서 일본과의 밀월 관계에 집중하는 미국 정부를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 포브스 편집장인 에몬 핑글턴은 최근 칼럼에서 "미 의회가 과거사에 대해서 침묵하는 아베 총리의 연설을 허용한 것은 정치 후원금 때문"이라며 의회를 맹비판했다. TPP에 대해서도 민주당의 대선 후보 마틴 오말리 전 메릴랜드 주지사가 "TPP로 인해 이득을 보는 것은 미국 내 대기업들뿐"이라며 반대하는 등 여당 내에서도 이견이 나오고 있다.
한편 이번 정상회담의 중요 의제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TPP 논의는 '상징적 합의'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마이클 프로먼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는 최근 인터뷰에서 "일본이 쌀 수입 할당량 확대 문제에 반대하는 기존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며 "아베 총리의 방미 기간에 최종 합의 선언이 이뤄질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