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후보의 정책 중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하던 성장률이 자취를 감춘 것은 전ㆍ현 대통령의 공약이 허황된 숫자 놀음으로 드러나 역풍을 맞은 것이 가장 큰 이유다. 국민이 두 번은 속아줘도 세 번은 안 속는다는 각 대선 후보 캠프의 셈법이 여기서 출발한다. 국민의 눈높이가 높아져 단순한 성장률이 아닌 삶의 질이나 행복지수 등에 관심이 커졌다는 분석도 있다. 특히 경기 침체가 가속화하는 가운데 유럽 재정 위기가 현재 진행형이고 중국 경제의 경착륙 가능성까지 거론돼 쉽사리 성장률 목표를 내놓기 어려운 사정도 있다. 정부의 싱크탱크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7일 올해 성장률을 3%대에서 2% 중반으로 대폭 수정했을 정도다.
그러나 향후 5년 내가 선택한 후보가 대통령이 됐을 때 한국 경제는 어떤 모습으로 변해 있을지 국민은 궁금하다. 경제민주화와 복지 확대를 아무리 외친들 경제의 밑그림이 될 수는 없다. 성장률은 국가 운영의 근본인 세수와 예산의 기초다. 숱하게 예상이 빗나가도 유엔이나 세계은행은 물론 각국 정부가 성장률 전망치를 발표하는 배경이다.
대선 후보들에게 또 거짓말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어려운 국내외 경제 환경을 고려하면서 후보의 국정 운영 청사진이 빛을 발할 때 한국 경제는 얼마나 성장할 수 있을지 유권자는 알고 싶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