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비대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정책쇄신분과 회의를 시작하기 전 "박 위원장에게 (공천위가) 사전에 이야기도 안 하고 임의적으로 (공천을) 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박 위원장의 의중은 공천위의 의중과 같은 것이 아니냐"고 말했다. 전날 정홍원 공천위원장이 공천 명단을 독자적으로 발표한 것과 명단을 끝까지 수정하지 않은 것은 결국 박 위원장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는 의미다.
실제 당초 최고위원회와 공천심사위원회 사이에 사전 조율과정이 있었던 18대 총선과는 달리 이번에는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가 공천 명단을 정한 후 비대위에 보고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는 이어 "정책 쇄신은 더 이상 할 게 없기 때문에 오늘 회의가 마지막이다. 비대위의 기능도 거의 다 됐다고 판단한다"며 사실상 사퇴 의사를 밝혔다.
1차 공천 명단에 '인적 쇄신'이 전혀 이뤄지지 않았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한 비대위원은 이날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내가 공천위원이었다면 새롭게 영입한 사람들 몇 명을 전략적으로 내놓으면서 패키지로 (1차 공천 발표를) 했을 것"이라며 아쉬움을 나타내기도 했다.
공천위가 재의결 끝에 확정한 단수후보 21명은 친이명박계의 좌장 격인 이재오 의원을 비롯해 친이계와 친박근혜계 의원들이 비슷한 비율로 포함돼 있다. 이는 계파 간 공천 갈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적 쇄신'보다는 '계파 안배'에 더 초점을 맞춘 결과로 보인다.
정 공천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공천위 회의 전 기자들과 만나 "(비대위와의) 의견차이가 왜 갈등이냐"며 단순한 의견조율 과정임을 강조했다. 하지만 앞으로 비대위에서 의결하기 전에 공천 명단을 발표하겠냐는 질문에는 "그게 순서가 맞는 것 같다"고 답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