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소의 송원근 선임연구원은 "박 후보는 공약 논의 과정에서 기존 순환출자 금지나 대기업 집단법 제정을 한다고 했다가 안 한다고 하는 등 공약이 계속 바뀌었다"고 말했다. 김종인 국민행복추진위원장과 박 후보 간 이견 조정이 길어지면서 공약을 이해하는 데 혼선을 줬다는 설명이다.
경제개혁연대 소장인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박 후보의 35개 실천과제 대부분이 재벌의 불공정ㆍ불법행위를 사후적으로 규율하는 데 집중되고 있다"면서 "재벌의 지배 구조에는 손을 안 대겠다는 이야기인데 그런 사전규제 없이 의도한 효과를 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문 후보의 공약에 대해 전문가들은 실천 의지를 낮게 봤다. 송 연구원은 "공약의 실현 가능성은 결국 당선자의 정책 의지에 여부가 달려 있다"면서 "출자총액제 제한 등은 예전에 했다가 실효성이 없어서 폐지한 정책인데 문 후보가 공약함으로써 과거로 돌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김 교수는 "단순히 출총제나 기존 순환출자 금지 도입 여부로 경제민주화 공약을 평가할 수 없다"면서 "중요한 것은 여러 가지 정책수단이 하나의 체계를 이뤄야 하는데 문 후보가 사전ㆍ사후규제를 얼마나 잘 조합하고 집권 후 잘 집행할지에 신뢰를 보내기 어렵다"고 밝혔다.
김우찬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영학과 교수는 "참여정부 집권 후 재벌개혁 공약이 유명 무실화된 것처럼 문 후보도 마찬가지일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