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19일 박 대통령의 담화 직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 대통령의 진정한 사과의 뜻은 지금까지 못 봤던 대통령의 모습"이라고 말했다. 담화에 담긴 세월호 사고 이후 국가개조계획에 대해서도 "40년 공직 경험에 비춰봐도 단 한 번도 시도되지 않았던 것"이라며 "충격적이고 대담하고 과감한 인식과 발상의 전환이었다"고 평가했다. 주호영 새누리당 정책위원회 의장은 "해양경찰 해체, 안전행정부 기능 재조정 등은 충격적이고 대담한 조치"라며 "유관기관의 취업을 금지하는 관피아 개혁 조치도 대한민국을 바꿀 것으로 보인다"는 반응을 내놨다.
민현주 새누리당 대변인도 이날 논평을 통해 "대통령의 솔직하고 진솔한 담화는 충격적 사고와 관련해 인식과 발상의 대전환을 제시했다"며 "(대국민담화 내용은) 국민의 안전을 지키지 못하는 국가 조직은 존재할 필요가 없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조치"라고 밝혔다.
새정치민주연합은 박 대통령의 대국민담화에 대해 "하향식 책임 전가와 하향식 대책 마련"이라고 비판했다.
대선후보였던 문재인 새정치연합 의원은 "'국가란 무엇인가, 왜 존재하는가'가 세월호 참사 이후 국민들이 지속적으로 제기하는 질문"이라며 "박 대통령의 담화에는 그에 대한 답이 전혀 없어 아주 아쉽고 실망스럽다"고 말했다.
박광온 새정치연합 대변인 역시 현안 브리핑을 통해 "박 대통령의 담화는 고뇌한 흔적이 보이지만 해경의 해체라는 충격요법을 들고 나온 것에 불과하다"며 "지극히 자극적이고 충격적인 요법으로 모든 책임을 해경에 넘기는 듯한 인상을 주기에 충분하다"고 꼬집었다.
민병두 새정치연합 공보단장은 박 대통령이 기자들의 질문을 받지 않고 자리를 떠난 것을 문제 삼았다. 그는 "박 대통령의 일인군주체제가 변화할 필요가 있다"며 "정말 진심으로 사과하고 소통할 생각을 가졌다면 국민을 대표하고 대변하는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답을 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민 공보단장은 또 새로 신설되는 국가안전처를 총리실 산하에 두기로 한 것에 대해서도 "국가 재난의 최종 컨트롤타워는 청와대"라며 "세월호 참사에서 그렇게도 문제가 됐던 무책임 논란을 스스로 자초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