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는 25일 개성공단에서 진행된 제6차 남북 실무회담과 관련해 "우리 측은 개성공단 가동 중단의 책임이 북한에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재발방지에 대한 확고한 보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거듭 강조했다"며 "북한 측은 가동중단 책임에 대한 기존 입장을 반복하면서 조속한 공단 재가동을 주장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개성공단 국제화 부문에서만 합의점을 찾았을 뿐 여타 부문에 대해서는 이견이 뚜렷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개성공단 사태 재발방지에 대한 입장 차가 여전해 향후 회담도 알맹이 없는 '회담을 위한 회담'만 반복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날 회담에서도 양측 수석대표는 시작부터 기싸움을 벌이며 협상 주도권을 쥐려 애썼다. 김기웅 우리 측 수석대표는 "산중수복(山重水複·갈 길은 먼데 길은 보이지 않고 난제가 가득한 형국)이라는 말이 있는데 우리가 마주 앉은 현실을 설명하는 말 같다"고 하자 박철수 북측 수석대표는 "매번 회담은 좋은 분위기에서 시작했지만 끝은 좋지 않았으며 그 이유는 회담과정에서 일관성이 부족했기 때문으로 생각한다"고 맞받았다.
김 대표가 이어 "개성공단을 발전적으로 정상화하겠다는 각오로 진지하게 논의를 해나간다면 어떤 문제도 풀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자 박 대표는 "현 실태에 대해 명확한 인식을 하고 '자기 땅에 발을 붙이고 눈은 세계를 보라'와 같은 입장을 가지면 좋은 결과가 나오리라 생각한다"고 응수했다. 박 대표가 언급한 '자기 땅에 발을 붙이고 눈은 세계를 보라'는 문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이야기한 것으로 북한에서는 개방과 국제화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이용된다. 북측이 김 위원장의 말을 빌려 개성공단 국제화를 위해서는 재가동이 우선돼야 한다는 입장을 우리 측에 에둘러 표현한 것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