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영길 인천시장은 얼마 전 정부 지원이 확대되지 않으면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를 국가에 반납하겠다는 폭탄 발언을 했다. 최근 열린 경인아라뱃길 개통식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평창동계올림픽만 언급하지 말고 인천아시아경기대회 성공 얘기도 해달라"라며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을 요청했다. 이 대통령에게는 "인천은 홍길동처럼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는 신세다. 서자(庶子) 취급을 받고 있다"는 말도 했다.
송 시장의 아시아경기대회 주최 반납 주장은 지난 2010년 7월 안상수 전 시장의 방만한 투기성 개발사업 및 이벤트 사업으로 바닥난 시 재정을 넘겨받았을 때부터 예견된 일이다.
시는 지난해 5,000억원을, 올 상반기에 1,200억원을 절감하는 등 나름대로 긴축과 자구노력을 기울였다. 최근에는 수십억원이 없어 공무원 수당을 제때 지급하지 못했다. 아시아경기대회 반납 주장은 억지스러운 면도 있지만 최근 시 재정난이 심각하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아시아경기대회를 치르기 위해서는 모두 2조7,426억원이 필요하다. 이 중 인천시가 부담해야 할 총액은 70% 수준. 문제는 없는 돈으로 대회를 치르려다 보니 채권을 발행해 충당해야 되는데 여기에 제약이 따른다는 점이다. 현재 시의 예산 대비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37%이고 올해 말 39.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전임 시장이 남겨놓은 8,500억원 상당의 빚 외에 아시아경기를 치를 경기장과 도시철도 2호선 등 부대시설 건설에만 수천억원씩 들어간다. 설상가상으로 경기침체로 세수가 4월 말 현재 지난해보다 1,400억원, 연말까지 4,000억원 가까이 감소한다. 부채비율이 40%를 넘으면 중앙정부의 감독을 받아 재정을 집행해야 한다. 자치권을 상실하는 것이다.
정부는 아시아경기대회가 인천에서 열린다고 인천만의 책임으로 돌려서는 안 된다. 우리의 교역과 안보에서 아시아가 차지하는 비중은 이제 구미 선진국 못지않다. 이제 누구를 탓할 시간적 여유도 없다. 행사 성공을 위해 중앙정부와 인천시가 머리를 맞대고 뜻을 하나로 모아야 할 때다.
인천시장이 야당이라고 인천시민들까지 서자 취급을 당해서는 안 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