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나라를 지켜야 할 국정원이 박근혜 대통령식 어휘로 말하면 나라의 암덩어리가 돼가고 있고, 쳐부셔야 할 구악이 돼가고 있다”면서 국정원 개혁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번 의혹에 대해 “3류 국가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면서 “국정원 증거조작 사건의 핵심은 최고 국가정보기관이 거리낌 없이 국민을 속이려 했다는 데 있다. 국민과 국가를 배신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국정원장에게 책임을 물어 국정원 개혁의지를 국민에게 실증하고 특검을 통해 철저히 진상을 규명해 엄중한 국기문란 사태를 하루 속히 수습하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 대표는 원격진료 허용 등 정부의 의료정책에 반발해 의료계가 집단휴진을 예고하고 있는 것과 관련, “박 대통령은 여전히 집단행동에 엄정 대응하겠다는 엄포만 되풀이한다”면서 “불통 정치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대화를 통한 해결을 강조했다.
박 대통령이 최근 “규제는 쳐부셔야할 원수”라며 규제혁파를 언급한 데 대해서는 “경제 양극화를 심화하는 방향의 규제완화에 사활을 걸기보다 경제력 집중을 완화하는 게 경제활성화의 지름길”이라며 “나쁜 규제만이 원수”라고 반박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