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 경선관리의 공정성을 문제 삼아 3일 동안 보이콧했던 김 후보 측은 30일 일단 '선당후사(先黨後私)'를 명분으로 내세우고 경선에 복귀했다. 그러나 이미 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김 후보 측은 당의 공정 경선관리를 주문하는 동시에 철저한 검증을 명분으로 공격의 도를 더해가는 실정이다. 정 후보가 최대주주로 있는 현대중공업의 선거운동 지원설까지 포함된 것으로 전해질 정도다. 정 후보 측도 강하게 받아치겠다며 발끈하고 있다. 김 후보가 미국에 체류하는 동안 수억원이 소요되는 대규모의 경선 사무실과 고급 인테리어, SNS 콘텐츠 등을 준비해놓았는데 어떤 자금으로 이런 준비작업을 했는지 출처를 밝혀야 한다는 소리까지 나오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자칫 '진흙탕 싸움'으로 이어질 판이다.
1,000만 시민이 사는 서울은 대한민국의 중심이다. 시민을 위한 민생과 정책대안 경쟁이 전국선거의 본보기가 돼야 함에도 집권정당의 시장후보들이 정치공방, 그것도 수준 낮은 폭로전 수준의 네거티브를 일삼는다면 6·4지방선거의 전체 판을 흐릴 수도 있다. 서울시민의 관심사인 용산개발마저 세 후보 간 정치적 입맛으로 엇갈리는 듯하다. 그러지 않아도 지난 대선의 최대 화두가 된 '새 정치'에 대한 국민적 기대와 평가가 모아지는 시점이다. 이래서야 새누리당이 주장해온 무능한 야당 지방정권 심판을 얘기할 자격이 있겠는가. 세 후보가 함께 만나 깨끗한 경선과정을 위한 합의와 재발방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국민이 바라보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