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수출의 탄력 약화는 중국 경제의 성장둔화와 수출감소 탓이다. 1·4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7.4%로 지난해 4·4분기 성장률 7.7%에서 후퇴했고 수출도 3.4% 감소했다. 더 큰 문제는 우리 대중수출 구조의 취약성이다. 지난해 대중수출에서 중간재 수출 비중이 73.3%에 달할 만큼 중국의 내수보다는 수출과 연관성이 더 높다. 중국의 리코노믹스(리커창 총리의 경제정책)가 수출보다 내수부양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데도 우리는 여전히 과거를 맴돌고 있을 뿐이다.
반면 경쟁국인 일본과 홍콩은 '양적성장보다 질적성장'에 무게를 둔 중국 경제의 변화에 주목해 빠르게 변신하고 있다. 지난해 중국 해관(관세청) 통계에 따르면 일본과 홍콩은 가공무역 비중을 34.8%와 36.1%까지 줄였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가공무역 비중이 47.6%나 된다. 지금이라도 가공무역 위주의 수출구조에서 벗어나 중국 소비시장을 공략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지 않으면 '수출 한국'의 미래는 위험해질 수 있다.
중국 경제는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5.4%에 달할 정도로 강해졌고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도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1%포인트 둔화하면 우리나라 수출이 1.3% 감소하고 성장률은 0.14%포인트 하락한다는 분석도 있다. 더 이상 '중국의 재채기에 우리는 감기가 걸리는' 식의 악순환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 중국 경제의 변화를 면밀히 분석하며 정확한 대응책을 마련해나가야 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