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만 당초 여론조사를 선호했던 안 후보가 최근 지지율 정체 내지는 하락으로 고전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민 중 일부를 뽑아 TV토론 등까지 종합 평가하게 하는 '배심원제 도입' 등 플러스 알파 카드를 꺼내 들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날 두 후보는 지난 단독회담 당시 합의했던 '후보등록(25ㆍ26일) 전 단일화' 약속은 지켜져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문 후보는 "다양한 단일화 방안 모색은 시간상 불가능해졌다"며 "기본적인 단일화의 큰 방안에 대해 전적으로 안 후보 측에 맡기겠다"고 했다. 단일화 시점이 일주일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협상 중단으로 시간이 더욱 촉박해진 만큼 안 후보 측이 단일화 방식을 제시하라는 것이다.
협상 중단에 따른 책임을 안 후보가 지게 하는 동시에 방식 결정권을 위임하는 '통 큰 양보'의 이미지를 또 한번 보여줌으로써 단일화 승리에 대한 자신감을 표출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그러나 안 후보가 택할 수 있는 선택지는 많지 않다. 가장 시간이 짧게 소요되는 여론조사도 ▦업체 선정 ▦조사 대상 데이터베이스(DB) 제작 ▦여론조사 시행 ▦결과 발표 등을 감안하면 닷새 정도가 소요된다. 여론조사에 사용될 문구 조율을 두고도 상당 시간의 기 싸움이 예상된다. 여론조사 말고는 사실상 도입할 수 있는 방식이 없다는 것이 정치권의 일치된 견해다.
당초 여론조사만으로 후보를 결정하는 방식은 안 후보 측이 선호해왔다. 그러나 최근 몇몇 여론조사에서 안 후보가 문 후보에게 뒤지는 것으로 나오고 있는 만큼 배심원 평가 등 새로운 방식이 추가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렇게 되면 후보등록 전 단일화는 어려워지고 이는 두 후보가 국민에게 한 약속을 깨는 것인 만큼 단일화가 이뤄져도 효과는 반감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