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을 살짝 놓쳐 프린지에 볼이 놓인 경우는 볼을 정확히 때리기가 쉽지 않고 거리 조절도 매우 어렵다.
프린지에서 퍼트를 할 때에도 그린에서와 기본적인 셋업은 똑같다. 다만 프린지 잔디의 결을 파악해 퍼트의 강도를 조절해야 한다. 잔디가 순결인지 혹은 역결인지 파악하고 잔디의 저항을 계산에 넣는다. 그린 위에서보다는 거리를 조금 더 보고 퍼트하는 것이 좋다.
◇평소와 같이 셋업하라= 겁부터 먹을 필요는 없다. 그린에서 퍼트한다는 생각으로 똑같은 리듬을 가지고 스트로크하면 된다. 볼은 왼쪽 눈 바로 아래 두고 최대한 가볍게 그립을 쥔다. 너무 급하게 스트로크하는 것은 좋지 않다. 처음부터 끝까지 일정한 리듬을 가지고 스트로크 해야 한다. 최대한 안정된 자세에서 일정한 리듬을 갖고 치는 게 홀 가까이 붙이는 비결이다.
◇잔디의 결을 파악하라= 프린지에서 퍼트할 때는 실제 거리보다 더 먼 곳에 홀이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볼이 그린주변 잔디를 지나가면서 속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잔디가 긴 프린지 구간이 얼마나 긴지, 에지에서 홀까지의 거리는 어느 정도인지 따로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무작정 세게 치는 것보다 잔디가 순결인지, 혹은 역결인지 파악하고 그에 맞는 강도로 퍼트해야 한다. 역결은 잔디의 저항이 순결보다 두 배 정도로 강하다.
◇볼의 상단을 맞혀라= 프린지에서는 볼이 잔디 속에 약간 잠겨 있기 때문에 스트로크 때 퍼터헤드와 잔디의 마찰을 최대한 줄여야 한다. 목표 지점으로 정확히 보내기 위해서는 볼의 상단을 때려야 한다. 만약 헤드를 볼의 중앙에 맞히려 한다면 잔디와 마찰이 생겨 일정한 스트로크에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임팩트 후에 볼이 튀어 오르게 된다.
오르막일땐 그린 높이 10배만큼 거리 더해야
●2단 그린 퍼트 전략
2단 그린은 설계가들이 곧잘 채택하는 코스 방어 방법이다. 일반 그린에서는 접할 수 없는 난이도가 더해진다. 경사에 따라 힘을 가감해야 하기 때문이다.
오르막인 경우 그린의 높이에 10을 곱한 수치만큼 거리를 더해준다. 예를 들어 2단 그린의 높이 차이가 10cm라면 실제 홀을 지나 1m 지점에 있는 상상의 홀을 향해 퍼트를 한다. 상상의 홀에 초점을 맞추고 볼이 그곳에 닿을 수 있도록 충분히 강하게 스트로크를 해야 하는 것이다.
아래층을 향해 내리막 퍼트를 할 때는 반대로 높이 차이에 10을 곱한 수치만큼 거리를 뺀다. 예를 들어 2단 그린의 높이가 7.5cm라면 상상의 타깃은 실제 홀보다 75cm 더 가까운 곳에 설정하도록 한다. 훨씬 약한 힘으로 퍼트를 해야 한다.
상상의 타깃을 기준으로 잡은 뒤 평탄한 그린에서 똑같은 거리를 보낼 때의 거리 감각으로 퍼트를 하면 홀에 넣거나 가깝게 붙일 확률이 높아진다. |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