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원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는 협상 도중 기자들과 만나 "해경과 소방청을 외청으로 존속시키느냐 여부가 제일 큰 문제"라며 "(본부로 흡수하자는) 우리의 의견이 맞고 (두 조직을) 외청으로 두면 정부조직 개편 필요성이 없는 것"이라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새누리당은 현재 국가안전처를 총리실 산하에 신설한 뒤 해경과 소방방재청을 독립된 본부로 흡수하고 해경의 수사권은 초동수사권을 제외하고 경찰청에 넘기자는 입장이다.
그러나 유대운 새정치연합 의원은 "현 소방공무원 3만9,500명 중 국가직은 323명인 가운데 나머지는 지방직이고 지휘권은 시도지사에게 있다. 그런데 (국가안전처 내의) 본부로 흡수하면 지휘권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로 나뉘는 문제가 발생한다"며 "더욱이 해경본부는 7,000여명인 데 반해 소방본부는 국가직 소방공무원인 322명에 불과해 인원과 예산 차이로 인한 소방본부 역할과 기능의 축소가 우려된다"고 반대했다. 본부로 흡수할 경우 해양안전본부와 소방안전본부 사이에 규모의 차이가 발생하고 소방안전본부는 총리→차관→본부장 등으로 지휘 체계가 복잡해지는데다 지방직 소방공무원은 현행대로 지자체 소속으로 남게 돼 지휘 체계의 이원화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이처럼 양측이 외청 존속 여부에 대립을 보이는 것은 새누리당이 총리실 산하의 국가안전처 신설 입장을 고수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야당의 한 관계자는 "국가안전처로 해경과 소방방재청 등의 조직을 통폐합한다는 관점에서 접근하다 보니 실행조직인 외청을 둘 수 없는 문제에 봉착하는 것"이라며 "과거에도 처 밑에 청을 둔 사례가 한두번 있었던 만큼 처 밑이라도 외청으로 해경 등을 유지할 수 있다면 부처 신설은 중요하지 않아 쉽게 결론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