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타, 이틀 뒤 공개할 스마트글래스 '깜짝 유출'
산업 IT 2025.09.16 09:05:05메타가 이틀 뒤 ‘커넥트 2025’에서 선보일 예정이었던 스마트글래스 제품군을 유튜브에 ‘깜짝 공개’했다 급히 삭제했다. 투명 디스플레이·손목 밴드로 작동하는 ‘고급형 인공지능(AI) 글래스’는 물론 오클리·레이밴 글래스 신형의 디자인도 모두 노출됐다. 행사를 앞두고 김이 빠졌다는 평가와 함께, AI에 힘입어 진정한 ‘메타버스’ 구현이 코 앞에 다가왔다는 기대감이 공존하고 있다. 메타는 15일(현지 시간) 낮 유튜 -
구글 저력 만만찮네… AI 광고 도입 "쉽지 않아"
산업 IT 2025.09.15 14:02:02인공지능(AI) 검색으로 구글 아성을 위협 중인 퍼플렉시티가 광고·상거래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격적인 수익화를 위해서는 광고 연계가 필수지만 수십년간 온라인 검색·광고계를 지배해온 구글의 탄탄한 광고·상거래 기반을 뚫기 쉽지 않은 듯하다. 오픈AI 등 타 AI 개발·운영사도 사정은 비슷해 AI 수익화 시점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현지 시간) 디인포메이션은 “퍼플렉시티가 광고 판매에 -
"부유한 인수자"는 어디에… 트럼프, 틱톡 매각 또 연장
산업 IT 2025.09.15 08:14:42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틱톡 매각 시한을 다시 한 번 연장할 전망이다. 6월 말 세번째 기한 연장 당시 “매우 부유한 인수 희망자를 찾았다”며 자신감을 보였으나 시한을 3일 앞두고도 이렇다 할 진전이 없는 탓이다. 틱톡이 미·중 관세 협상 카드로 떠오르며 무역 협정 이전까지 ‘무기한 연장’이 계속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14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틱톡 미국 자산 매각·서 -
MS·오픈AI '파국' 피했다… '공익법인' 전환 속도
산업 IT 2025.09.12 08:08:15구조 개편과 지분율·인공지능(AI) 기술 공유 등을 두고 갈등을 빚어온 마이크로소프트(MS)와 오픈AI가 합의점을 찾은 듯하다. 기존 최대주주인 MS가 오픈AI 공익법인 전환을 허용하는 한편 협력 연장을 꾀하고 있다. 한때 ‘최고의 파트너’에서 앙숙이 될 위기까지 맞았던 두 기업이 난항 끝에 파국을 피하는 구도다. 11일(현지 시간) MS와 오픈AI는 공동 성명을 통해 “협력 다음 단계를 위한 구속력 없는 양해각서(MOU)를 체결 -
MS, 오픈AI 라이벌 엔트로픽 손 잡나
산업 IT 2025.09.10 07:51:18오픈AI 핵심 투자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엔트로픽 인공지능(AI) ‘클로드’를 오피스 등 주요 서비스에 통합한다. 다수 AI 도입은 일반적이나 오픈AI와 갈등설이 불거지는 와중 ‘외도’라는 점에서 MS가 대안을 찾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9일(현지 시간) 디인포메이션은 MS가 오피스365 앱 일부 AI 기능에 관해 엔트로픽과 라이선스 계약을 맺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MS는 오픈AI 초기 투자사이자 핵심 파트너다. 오픈A -
아이폰17, '에어' 내놨지만 '카툭튀'는 어쩌나
산업 IT 2025.09.10 04:45:53애플이 슬림형 ‘에어’를 포함한 아이폰17 시리즈를 공개했다. 카메라 센서와 배터리 용량을 키우는 한편 단점으로 지적되던 냉각도 개선해 지속 성능을 높였다. 다만 후면 카메라 섬이 대폭 확대된 ‘플래토(고원)’ 디자인에 대한 평이 엇갈리고, 인공지능(AI) 도입에 대한 새 소식이 없어 시장 반응이 차갑다. 9일(현지 시간) 애플은 미 캘리포니아 쿠퍼티노에서 아이폰17·애플워치11·에어팟 프로3 시리즈를 공개했다. 소문 -
'성골' 물 빼는 인텔… 외부 수혈로 체질개선 속도
산업 IT 2025.09.09 13:45:02체질개선에 고심 중인 인텔이 ARM·퀄컴 출신 고위 임원을 영입하고 인공지능(AI) 분야인 데이터센터그룹을 맡겼다. 동시에 임시 최고경영자(CEO)를 맡기도 했던 ‘성골’ 출신 인사는 고문으로 물러났다. 창사 이래 첫 외부 출신 CEO인 립부 탄 취임 후 고위 임원진 외부 수혈이 계속되며 인텔의 순혈 중심 경직된 조직 문화에 변화의 조짐이 인다. 8일(현지 시간) 인텔은 ARM에서 엔지니어링 부사장을 지낸 케보크 케치치안을 데 -
머스크, 모바일 주파수 샀다… '위성 폰' 시대 열릴까
산업 IT 2025.09.09 08:13:01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스페이스X가 무선 주파수 대역을 구매하고 본격적인 위성 이동통신 사업에 나선다. T모바일 등 대형 사업자 주파수를 빌려 쓰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스페이스X가 휴대전화와 위성을 직결해 미국을 비롯한 글로벌 이통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구상이다. 8일(현지 시간) 스페이스X는 미국 통신 기업 에코스타의 50㎒의 무선 주파수 대역과 글로벌 이동위성서비스(MSS) 주파수를 170억 달러에 인수한다고 밝혔다 -
트럼프 '마가' 구호가 공허하게 느껴지는 까닭
오피니언 사내칼럼 2025.08.31 17:59:08‘마가(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구호를 접할 때마다 의문이 들곤 한다. 그들이 말하는 ‘위대한’ 시절은 언제인가. 요즘 뉴욕 증시는 연일 사상 최고치를 갈아 치우고 맨해튼은 불야성을 이루고 있다. 실리콘밸리에서는 데카콘(Decacorn·기업가치 100억 달러 이상) 스타트업이 수없이 탄생한다. 지표 역시 마찬가지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사상 처음으로 30조 달러를 넘어서 세계 GDP의 26% -
삐걱대는 메타 AI… 초지능 구축 산 넘어 산
산업 IT 2025.08.31 14:37:59천문학적인 자금으로 인재 영입에 나섰던 메타 초지능연구소(MSL)가 출범 두달만에 삐그덕대고 있다. 영입한 인재가 줄퇴사하는데다 기존 메타 인공지능(AI) 조직 반발도 거세다. 야심차게 선포한 초지능(ASI) 구축까지 기약이 없어 구글·오픈AI와 AI 사용 협상에 나섰다는 소식까지 들린다. 30일(현지 시간) 테크크런치는 MSL에 합류했던 스케일AI 출신 인사인 루벤 마이어가 메타를 떠났다고 보도했다. 메타는 MSL을 이끌 알렉 -
구글·앤스로픽·xAI '맹추격'에 오픈AI 주도권 '흔들'
산업 IT 2025.08.31 14:07:16생성형 인공지능(AI) 시대를 연 오픈AI의 주도권이 흔들리고 있다. 구글·앤스로픽에 이어 일론 머스크의 xAI가 다크호스로 등장해 오픈AI 챗GPT와 기술력·사용자 격차를 좁히는 중이다. ‘스타트업’인 오픈AI와 달리 탄탄한 자금력을 지닌 빅테크가 저가 공세에 나서자 오픈AI는 수성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지난 28일(현지 시간) xAI는 첫 코딩 에이전트 모델 ‘그록-코드-패스트-1(이하 그록 코드)’을 출시했다. xAI가 내놓 -
'에어'로 얇아진 아이폰17, 카툭튀는 어쩌나
산업 IT 2025.08.25 13:08:13애플 아이폰17 시리즈가 9월 9일 공개될 전망이다. 소문의 얇은 ‘아이폰17 에어’가 등장하지만 카메라 영역이 좌우로 길게 늘어져 디자인에 호불호가 갈릴 듯하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따라 가격 인상도 예고돼 있다. 24일(현지 시간)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애플은 9월 9일 아이폰17 시리즈 공개 행사를 열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제품군·성능 뿐만 아니라 소매 판매를 위한 ‘목업’ 디자인도 유출되 -
관세에 게이머도 운다… 닌텐도 이어 소니도 PS5 가격 인상
산업 IT 2025.08.21 09:14:53소니가 게이밍 콘솔 플레이스테이션(PS)5 북미 가격을 50달러씩 높였다. 출시 후 첫 가격 인상이다. 앞서 닌텐도가 구형인 스위치1 가격을 인상한 데 이어 소니도 도널드 트럼프 정권의 관세 도입 후폭풍을 피하지 못한 꼴이다. 20일(현지 시간) 소니는 플레이스테이션 블로그를 통해 21일부터 미국 내 PS5 가격을 모델별로 50달러씩 인상한다고 밝혔다. 기본형은 549.99달러, 디지털에디션은 499.99달러, PS5 프로는 749.99달러가 -
"아이폰 AI 1년 지연? 안드는 지금 당장" 구글, 픽셀10 출시
산업 IT 2025.08.21 08:45:47“곧 등장할 새 기능 때문에 새 폰을 사야 한다면, 그런데 그 '곧'이 1년이라면, '곧'의 정의를 바꾸거나 폰을 바꿔야 할 겁니다.” 구글이 20일(현지 시간) 공개한 스마트폰 픽셀10 시리즈 광고 영상 속 대사다. 지난해 상반기 공개했으나 아직도 본격 도입이 지연되고 있는 애플 인텔리전스를 조롱하며 구글 픽셀과 안드로이드 생태계에는 이미 인공지능(AI)이 도입된지 오래임을 강조하는 듯하다. 자신감 넘치는 광고 내용처럼 -
챗GPT, 인도에선 4달러? '사이버 이민' AI서 재현될까
산업 IT 2025.08.20 10:36:16오픈AI가 14억 인구를 자랑하는 인도 시장을 겨냥한 챗GPT 전용 요금제를 내놨다. 인도 사용자의 경제력을 고려해 월 20달러인 기본 요금제의 4분의 1에 못 미치는 399루피(4.6달러)에 채팅 한도를 10배 늘려준다. 챗GPT 글로벌 유료 구독 2위인 한국은 여전히 미국과 같은 요금을 내고 있다. 구독료가 저렴한 국가를 찾아 ‘온라인 국적’을 옮기는 ‘구독 이민’이 인공지능(AI) 분야에서도 재현될 수 있다는 관측이 이어진다. 1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