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고양시가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소상공인에게 총 835억 원 규모의 종합 지원책을 추진한다. 자금 지원부터 시설 개선, 디지털 전환, 상권 조직화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해 소상공인의 자생력을 높인다는 계획이다.
고양시는 담보력이 부족한 소상공인을 위해 경기신용보증재단과 함께 '소상공인 특례보증사업'을 운영 중이라고 5일 밝혔다. 업체당 최대 5000만 원까지 지원되며, 2022년부터 현재까지 2092명에게 총 605억 원의 보증이 실행됐다.
올해는 761명이 219억 원을 지원 받았다. 특히 금융 접근성이 낮은 중·저신용자 693명에게 150억 원, 청년 소상공인 112명에게 30억 원을 별도 배정했다. 시 출연금을 기반으로 경기신보가 특례보증서를 발급하면 제1금융권이 대출을 실행하는 구조다.
점포 환경개선과 디지털 전환 지원도 병행된다. '소상공인 경영환경 개선사업'을 통해 점포당 최대 300만 원을 지원한다. 리모델링, 간판 교체뿐 아니라 키오스크, POS기기 설치 등 디지털화 비용도 포함된다.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94개 업체가 10억 9000만 원을 지원받았고, 올해는 58개소에 1억 730만 원이 집행됐다. 참여 업체의 91.4%가 사업 효과에 '매우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골목상권 12곳 공식 지정…제도권 지원 확대
시는 소규모 상권의 조직화에도 나섰다. '일산시장 연대상권 육성사업'을 통해 일산시장, 일산서문상점가, 일산역 골목상권을 하나의 브랜드로 묶었다.
'골목형 상점가' 지정도 확대했다. 화정별빛마을을 시작으로 덕양구 6곳, 일산동구 2곳, 일산서구 4곳 등 총 12곳이 공식 지정돼 제도권 지원을 받게 됐다.
시는 전문 컨설턴트 4명이 참여하는 경영컨설팅도 운영 중이다. 인사·노무, 세무·회계, 마케팅 등 경영 전반을 지원한다.
이동환 시장은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의 뿌리이자 시민 생활의 근간"이라며 "단기 자금 지원뿐 아니라 상권 조직화와 환경 개선으로 자생력을 키우는 실질적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lkh@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