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캄보디아를 거점으로 투자 리딩방 등 422억 원대 신종 금융 사기를 벌여오던 범죄 조직 129명을 일망타진하고 ‘노쇼 사기’를 벌여온 일당 114명을 검거하는 등 범죄 조직 소탕에 열을 올리고 있다. 다만 캄보디아 보이스피싱 조직에 대한 경고음이 수차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20대 한국인 대학생 사망 사건이 알려지고 나서야 대응에 나섰다는 점에서 ‘늑장 대응’이라는 쓴소리가 나온다. 또 여전히 현지 ‘몸통’으로 꼽히는 주요 피의자 검거는 늦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보다 강력한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4일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과는 지난달 31일 캄보디아 범죄 단지를 근거지로 두고 투자 리딩 사기 및 로맨스스캠 등 한국인 상대 사기 행각을 벌인 총책 50대 A 씨를 포함해 조직 일당 129명을 검거했다고 밝혔다. 이들 중 19명은 구속 송치되고 110명은 불구속 송치됐다. 이들은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알려주는 대로 투자하면 고수익을 올릴 수 있다”며 투자 전문가를 사칭해 피해자 220명으로부터 약 422억 원을 가로챈 혐의를 받는다.
경찰청은 또 베트남 공안과 공조해 캄보디아 바벳 지역을 거점으로 활동하던 로맨스스캠 범죄 조직 핵심 피의자 5명을 지난달 28일 검거했다고 이날 밝혔다. 노쇼 사기 전담수사관서인 강원경찰청은 군부대 등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선거 기간 중 정당, 대통령 경호처 행세를 하며 사기 행각을 벌인 일당 114명을 검거해 이 중 18명을 구속 상태로 검찰에 넘기기도 했다. 강원청의 수사 결과 이들은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의 거대 범죄 단지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으며 자금세탁책부터 관리책, 관리총책, 중계기 관리책, 콜센터 조직원 등 철저하게 역할을 나눠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에서 20대 대학생이 감금돼 구타 끝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수사기관이 캄보디아 당국과 협조해 가담자들을 송환하는 등 일부 성과를 내고 있지만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식’ 대응이라는 지적도 상당하다. 캄보디아에 거점을 두고 있는 범죄 조직들이 우리나라 국민을 타깃으로 삼고 한국인 직원을 모집한다는 것은 앞서 공공연히 알려진데다 지난해 한국인 납치 신고 건수가 220건으로 전년 대비 10배 이상 폭증하는 등 수차례 경고음이 울렸지만 유의미한 대응이 전무했기 때문이다. 특히 2023년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한 여성 인터넷 방송인이 실종됐다 숨진 채 발견되면서 캄보디아 내 안전에 대한 의구심도 커졌지만 제대로 된 대책은 마련되지 않았다.
수사기관이 발표한 검거 성과도 부풀려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붙잡힌 피의자 대부분은 단순 가담원이며 국내 총책 등 핵심 피의자가 붙잡힌 경우는 극소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캄보디아 현지 조직 자금줄을 조이는 금융 추적 수사나 국외 총책 신원, 거점 특정 등이 필수이지만 상당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달 15일 정부가 외교부·경찰청·법무부 등이 참여한 합동 대응팀을 요란하게 급파하면서 범죄 조직 대다수가 베트남·태국 등 인근 국가들로 거점을 이전할 시간적 여유를 제공했다는 것도 아쉬운 점으로 꼽힌다.
현재 서울경찰청 캄보디아 한국인 납치·감금·실종 전담 태스크포스(TF)는 총 24건을 수사하고 있다. 캄보디아 현지에서 사기와 인신매매 등을 벌이다 미국·영국의 제재를 받은 프린스그룹과 캄보디아 범죄 조직의 자금세탁 등에 악용됐다는 의혹을 받는 후이원그룹도 입건 전 조사(내사) 대상에 포함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rea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