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추위가 시작되면서 따뜻한 아메리카노 소비가 늘고 있지만, 일회용 종이컵에 뜨거운 물이 닿는 순간‘조(兆) 단위’의 나노플라스틱이 녹아 나온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고 있어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가 국제 학술지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폴리에틸렌(PE)으로 코팅된 일회용 종이컵에 뜨거운 물을 부었을 때 리터(L)당 수 조(兆) 개 단위의 나노플라스틱 입자가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 변수는 '온도'였다. 실험 결과 22℃ 물에서는 L당 약 2조 8000억 개가, 100℃ 물에서는 약 5조 1000억 개가 검출됐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위 코팅층이 열에 노출될수록 용출량이 급증한다”고 설명했다.
국내외 다른 연구 역시 같은 방향의 경고를 내놓고 있다. 국제 학술지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연구에서는 95℃ 물을 담은 PE 코팅 종이컵에서 최대 L당 약 5,984개의 미세플라스틱이 확인됐고, 지난해 인하대 연구진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최신 논문에서 일회용 종이컵에서 나온 나노 크기 플라스틱이 면역세포 염증 반응을 유발하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만 아직 인체 위해성은 ‘정량적 확증’ 단계는 아니다. WHO 역시 “음식·음료 섭취를 통한 미세입자 유입은 향후 장기 연구가 필요하며 염증 위험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고 평가한다.
전문가들은 결국 생활습관의 영향을 강조한다. 뜨거운 음료를 오랜 시간 방치하거나 종이컵을 재사용하는 경우 미세입자 용출량이 더 크게 늘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텀블러는 상대적으로 검출량이 적다는 조사 결과도 이미 존재한다. 환경부는 텀블러 사용 시 포인트 제공 등 소비전환 유인책도 확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ftershoc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