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개월간 재판에 불출석하던 윤석열 전 대통령이 연이틀 재판에 나와 자신의 혐의에 대한 직접적 대응을 시작했다.
윤 전 대통령은 31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35부(부장판사 백대현) 심리로 열린 특수공무집행방해 등 혐의 공판에 모습을 드러냈다. 전날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 출석한 데 이어 이틀 연속 출석이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달 26일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 첫 공판기일을 제외하고 그동안 재판에 건강상의 이유로 나오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이 이날 공판에 나온 것은 핵심 증인인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에 대한 증인 신문 때문으로 풀이된다. 윤 전 대통령은 올 초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가 자신을 체포하려 하자 대통령 경호처를 동원해 체포를 저지하도록 직접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 전 차장은 이날 증인으로 나와 경호처에 비화폰 서버 기록을 삭제하라고 지시한 적이 없다고 했다. 그는 “지난해 12월 7일 첫 통화에서 비화폰 운영 규정에 관해 물었고, 제가 잘 모르겠다고 했더니 그 규정대로 잘하라고 했다”고 답했다. 이어 “두 번째 통화에서 비화폰 서버는 얼마 만에 한 번씩 삭제되는지 물어 이틀 만에 삭제된다고 답했고, 더 이상 말씀은 안 하시고 끊었다”고 말했다. 김 전 차장은 “그러고 나서 ‘수사받는 사람들의 비화폰을 그대로 그냥 놔두면 되겠느냐. 아무나 열어보는 게 비화폰이냐. 조치해야지’라고 말씀했다”고 했다. 이후 김 전 차장은 보안 조치를 지시했다. 다만 삭제 지시는 아니라고 부인했다. 윤 전 대통령도 “삭제 이런 건 이뤄지지 않는다는 걸 말씀드린다”고 덧붙였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특검팀이 여사 호칭을 떼고 ‘김건희’라고 부르자 반발하기도 했다. 특검팀은 김건희 여사와 김 전 차장이 지난해 12월 주고받은 텔레그램 메시지를 공개하며 “김건희가 압수수색에 대해 피고인이 우려한다는 취지의 말을 증인에게 하는 내용”이라고 소개했다. 이에 윤 전 대통령은 “아무리 그만두고 나왔다고 해도 김건희가 뭐냐”며 “뒤에 여사를 붙이든 해야 한다”고 불만을 드러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greenlight@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