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 접수 마감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사실상 마지막 남은 인수 후보인 농협의 선택에 시선이 쏠리고 있다. 매각 측에서는 농협의 의지가 확인될 시 법원 허가를 받아 회생계획안 제출을 재연기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된다. 홈플러스 파산을 막기 위한 각계의 고군분투가 이어지면서 정치권, 투자은행(IB) 업계, 유통 업계의 관심이 증폭되는 분위기다.
29일 IB·유통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와 매각 주관사 삼일회계법인은 이달 31일 LOI 접수 마감을 앞두고 최근까지 농협과 직간접적 논의를 이어온 것으로 파악됐다. 매각 측은 촉박한 시한과 최근 급박하게 돌아가는 상황을 고려해 다음 달 10일로 예정된 회생계획안 제출 마감일을 다시 연기할 수 있을지 따져보고 있다. IB 업계 관계자는 “농협이 인수 의지를 보여주면 법원도 채권단과 협의해 일정 순연을 다시 허가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농협경제지주 산하 경제기획본부에서는 최근 삼일회계법인이 작성한 홈플러스 조사보고서와 투자설명서 등의 서류를 건네받아 실제 인수 가능성을 살펴본 것으로도 확인됐다. 농협의 한 고위 관계자는 “삼일회계법인과 홈플러스 인수 관련 미팅을 가진 적이 있고 설명도 들었다”면서도 “하지만 인수 의사가 없다는 취지로 일단 돌려보냈다”고 말했다. 이달 24일 국정감사에서 강호동 농협중앙회 회장이 “인수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답변했으나 현업 부서에서는 서류 실사 등이 이뤄졌던 것이다.
매각 측은 하나로마트와 홈플러스의 시너지가 생각보다 클 것이라고 농협을 설득하고 있다. 양 사가 결합하면 전체 매출이 10조 원대가 돼 이마트에 이어 유통 업계 2위가 되고, 통합 구매망을 통해 단가를 절감하는 한편 관리·지원 부서도 일원화해 고정비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홈플러스의 20~40대 고객층이 하나로마트에 유입되면 고령 중심의 소비층 보완도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홈플러스의 약 120개 점포 중 67% 이상이 수도권과 광역시에 몰려 있어 지방 소도시 중심인 현재의 하나로마트 유통망에 상호보완적 효과도 낼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대 30만 명으로 추산되는 홈플러스 임직원, 소상공인, 가족들의 생계가 달린 문제라는 점에서 정치권의 관심도 커지는 모양새다. 어기구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이 최근 국회 국정감사에서 농협에 홈플러스 인수 검토를 요청한 데 이어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도 비슷한 취지의 언급을 내놓았다.
다만 농협 내부에서는 여전히 인수 추진에 반발하는 기류가 강해 최고위층이 쉽게 결단을 내리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형마트를 품어 농협 유통 사업까지 망가지면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을 온전히 뒤집어 쓸 수 있기 때문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농협에 거대한 짐을 맡게 하려면 산업은행의 정책자금 등이 선제적으로 약속돼야 한다”면서 “홈플러스 점포의 순차 폐점과 부동산 매각 등 일부 구조조정에 대한 자율성도 함께 담보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midsu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