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과 시설에 따라 산후조리원 이용 요금이 최대 33배 넘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고가는 서울 강남구의 한 산후조리원으로 2주 이용 요금이 4020만 원에 달했다. 최저가는 전북 군산의 한 산후조리원으로 120만 원이었다.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남인순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2주간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비용은 전국 최고 4020만 원, 최저 120만 원으로 조사됐다.
일반실 기준으로는 서울 강남의 A·H산후조리원이 각각 1700만 원으로 가장 비쌌고 전북 군산의 M산후조리원이 120만 원으로 가장 저렴했다. 특실의 경우 최고가는 강남 D산후조리원(4020만 원), 최저가는 전남 강진군 공공산후조리원(154만 원)으로 집계됐다.
특히 일반실 요금 상위 10곳 중 7곳이 서울 강남구에 몰려 있었다. 나머지 3곳은 서울 용산구·강서구, 경기 성남시에 1곳씩 분포했다. 17개 시도별로는 서울의 일반실 평균 가격이 491만 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광주(407만 원), 세종(383만 원), 대전(371만 원) 경기(359만 원) 순이었다.
남 의원은 “복지부의 ‘2024년 산후조리 통계’를 보면 산모 10명 중 8명이 산후조리원을 이용하고 있지만 전국의 산후조리원 수는 2021년 하반기 519곳에서 2024년 하반기 460곳으로 줄었다”며 “같은 기간 일반실 평균 이용 요금은 232만 원에서 355만 원으로 100만 원 이상 상승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시설은 줄고 비용은 오르면서 산모들이 경제적 여건에 따라 적절한 산후조리원을 선택할 권리가 점점 제한되고 있다”며 “일반실 평균 이용 요금이 민간의 절반 수준(약 174만 원)인 공공산후조리원 확충을 통해 산모들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만족도 높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공산후조리원은 2021년 13곳에서 현재 21곳으로 늘었지만 여전히 전체 산후조리원의 5%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