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의 보육기업이자 부산연구개발특구 연구소기업인 데이터플레어가 국가전략기술 분야와 연계할 수 있는 잠재력을 검토 받았다.
20일 부산창조경제혁신센터에 따르면 부산연구개발특구본부는 국가 경제와 안보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인공지능(AI), 반도체, 2차전지, 첨단 바이오 등 12대 국가전략기술과 관련해 특구 내 연구소기업들의 기술을 사업화로 유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번 검토 역시 그 일환으로, 데이터플레어의 기술이 AI 분야 국가전략기술과 접점이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데이터플레어는 AI 기반 AX(AI Transformation) 기술을 활용해 항만 대기오염과 탄소 배출 문제 해결에 도전하고 있다. 유근제 국립한국해양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의 특허 기술을 이전받아, 센서 없이도 선박별 오염물질(CO₂, SO₂, NO₂, PM2.5) 배출량을 정밀 측정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AI 영상 분석과 선박자동식별장치(AIS) 데이터를 융합하는 방식으로, 항만 운영기관이 탄소세·배출권·ESG 평가 등에 활용 가능한 실측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부산특구본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특구기업들이 국가정책과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적극 들여다보겠다”고 말했다.
데이터플레어는 현재 부산창경의 바운스(BOUNCE) 스마트해양·핀테크 액셀러레이팅 선정기업으로, 실제 항만 환경에서 기술 적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싱가포르 등 글로벌 시장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