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에서 비브리오패혈증균이 올해 처음으로 검출돼 연구원들이 우려를 나타냈다.
지난 22일 전북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비브리오패혈증균은 지난 14일 해수에서 채취한 해수에서 검출됐으며 지난해와 비교하면 1주 정도 빠르게 나타났다.
비브리오패혈증은 제3급 법정 감염병으로 주로 해산물을 덜 익혀 먹거나 상처 난 피부에 오염된 바닷물이 접촉했을 때 감염된다.
관련기사
감염될 경우 치사율이 50%에 달하며 간질환 환자, 당뇨 환자 등 기저질환을 가진 고위험군에는 특히 치명적이다. 혈류감염을 유발해 패혈성 쇼크로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장염비브리오는 어패류 조리과정에서 도마, 칼 등 조리도구와 조리자의 손을 통한 교차오염에 의해 주로 감염되기 때문에 수산물 구매, 보관, 조리 시 주의해야 한다.
비브리오패혈증균은 해수 온도가 18도 이상일 때 잘 증식하는 특성이 있는데, 지구 온난화가 가속하면서 매년 검출 시기가 빨라지고 있다는 게 도 보건연구원의 설명이다.
앞서 전북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은 비브리오패혈증균에 대한 집중 감시를 추진해왔다. 수온 상승으로 인해 비브리오균의 증식이 우려됨에 따라 군산과 고창, 부안 해역에서 지난 10월까지 매주 병원성 비브리오균 모니터링을 실시해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