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를 K-하이퍼튜브의 원년으로 선언하고 미래형 초고속 교통수단인 하이퍼튜브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 하이퍼튜브 기술이 개발되면 시속 1200km로 달리는 기차를 타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20분 내 주파가 가능하다.
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정부는 차세대 육상 교통 혁신을 목표로 자기부상 추진 기술을 포함한 핵심 기술 연구를 시작한다.
하이퍼튜브는 진공에 가까운 아진공(0.001~0.01 기압) 상태의 튜브 속에서 자기 부상 기술을 이용해 열차를 띄우고 전자기력을 통해 초고속으로 이동시키는 시스템이다. 비행기보다 빠르고 친환경적이며 기상 영향을 적게 받는 것이 특징이다.
K-하이퍼튜브는 단순히 교통수단을 넘어 지역 간 이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하고 환경 문제를 해결할 미래 교통의 혁신 모델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총사업비 127억 원(2025년 36억 8000만 원)이 투입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2027년까지 진행된다. 주관연구기관인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중심 역할을 맡아 초고속 교통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을 검증할 예정이다.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이번 연구개발은 철로 위 비행기라 불리는 하이퍼튜브 기술의 첫 발걸음으로 큰 의미가 있다"며 "지역 균형발전과 지방 소멸 위기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는 20년 전 고속철도를 수입하던 국가에서 자체 기술 개발에 성공해 수출국으로 도약했다"며 "이번 하이퍼튜브 개발을 통해 글로벌 철도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세계 각지로 뻗어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