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 배송'을 사칭해 돈을 빼앗는 보이스피싱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13일 금융감독원(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금감원에 접수된 보이스피싱 피해구제 신청 기준 피해액은 9월 249억 원에서 12월 610억 원으로 증가했다. 금감원은 피해액 증가 원인으로 피해자들을 신청한 적 없는 카드 배송을 미끼로 한 보이스피싱에 속은 고령층의 고액 피해 사례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다.
금감원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보이스피싱으로 2억 원 이상 고액 피해를 본 사람의 약 80%가 여성이었다. 특히 60대 여성이 과반수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이전에는 카드 배송 미끼 문자를 발송했으나 문자차단 대책 등이 시행되면서 배송원을 사칭해 전화하거나 위조된 실물 카드를 직접 배송하는 사기 방식이 바뀌고 있다.
사기범들은 신청한 적 없는 카드 배송을 미끼로 피해자가 오해하게 만들어 카드사 고객센터로 위장한 그들의 연락처로 전화하도록 유인했다. 공식 앱스토어에 등록된 원격제어앱을 설치하도록 유도해 피해자의 휴대폰 장악하거나 검찰이나 금감원을 사칭하기도 한다.
지난해 12월 금감원이 이 같은 보이스피싱 사례에 대해 이미 소비자경보 ‘주의’를 발령했으나 비슷한 수법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금감원은 소비자경보 등급을 ‘경고’로 상향했다.
금감원은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 배송으로 연락받은 경우 카드사에 직접 확인해야 한다”며 “금융사와 공공기관은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고 금감원과 검찰은 절대 직접 자금 이체를 요구하지 않는다”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