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에 정치적 불안이 커지고 악성 미분양 사태까지 벌어지면서 주택사업자들 사이에서 미분양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11일 주택산업연구원이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2월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1월보다 전국 평균 4.0포인트(p) 상승한 75.4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0.2p(76.8→76.6) 하락, 비수도권은 4.8p(70.3→75.1) 상승으로 전망됐다. 수도권에서는 서울(89.5→87.1)과 경기(67.6→66.7)에서 하락 전망됐고, 인천은 (73.3→76.0) 상승 전망됐다. 비수도권에서는 광주(66.7→80.0), 전남(62.5→75.0), 대구(64.0→76.2), 충남(66.7→77.8), 부산(68.0→77.8), 대전(60.0→69.2), 경북(73.3→81.8), 제주(72.2→80.0), 세종(75.0→76.9), 경남(68.4→69.2) 상승 전망됐다. 강원(75.0→66.7), 울산(73.7→69.2), 전북(85.7→81.8), 충북(72.7→70.0)은 하락 전망됐다.
기저효과로 인한 상승이 있었으나 여전히 모든 시·도의 아파트 분양전망지수가 기준치(100.0)를 크게 밑돌았다. 강화된 주택담보대출 규제, 정치적 불확실성, 경기침체 우려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주택거래가 감소하고 일부 수도권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주택가격이 하락한 것이 배경으로 풀이된다. 비상계엄사태 이후 환율이 급격히 상승하면서 수입 원자재 가격이 올라 아파트 분양 사업성이 악화된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전국적으로 미분양주택이 증가한 것도 분양시장에 악영향을 미쳤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해 12월 주택통계 기준 전국 2만 1480가구로 집계됐는데 이는 2014년 7월 이후 약 10년 5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신동아건설 등 중견 건설사들의 부도가 잇따르며 건설사업자 수도 급감하고 있다.
특히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10.7p 상승한 113.5로 전망돼 지난해 1월(115.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높은 금리부담, 수요자 대출규제, 경기침체 우려, 불안한 정치상황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수요자의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관망세가 이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4.5p 상승한 105.9로 전망됐다. 사업자들이 계엄령 이후 급격히 상승한 환율이 수입 원자재 가격을 높여 분양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7.1p 상승한 84.6으로 전망됐다. 전월 대비 상승했으나 아직 기준치를 밑돌고 있어 분양물량은 계속 줄어들 전망이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2월 분양 예정 물량은 16개 단지 총 1만 2676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51% 수준으로 감소했다.
연구원은 “정부와 금융기관이 협력하여 불합리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와 주택담보대출 심사기준을 개선하고, 지방 미분양 주택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해 건설업계의 유동성을 확보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