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의회가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인공지능(AI) 챗봇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앱)을 정부 기관에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안을 추진한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 시간) 미 연방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공화당 대런 라후드 의원과 민주당 조시 고트하이머 의원이 이 같은 내용의 법안을 조만간 발의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라후드 의원과 고트하이머 의원은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과 같은 접근 제한이 딥시크 챗봇에도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관련기사
앞서 미 연방 의회는 지난 2022년 민감한 사용자 정보가 중국 정부에 흘러 들어갈 가능성을 우려해 정부 기기에서 중국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공유 앱인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킨 바 있다. 고트하이머 의원은 "적대국이 우리 정부의 정보를 입수하는 것을 막기 위해 즉각적인 조처를 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딥시크 출시 이후 전 세계적으로 돌풍을 일으키면서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한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각국에 딥시크 금지령이 확산하고 있다. 현재 한국을 비롯해 대만, 호주, 이탈리아 등에서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고, 미국의 경우 해군과 항공우주국(NASA) 등 일부 연방기관이 이미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미국 주 정부 차원에서는 텍사스주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앞서 사이버보안업체 페루트 시큐리티의 이반 차린니 최고경영자(CEO)는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딥시크의 코드를 해독한 결과 감춰진 부분이 발견됐다고 ABC 방송은 보도했다. 딥시크에 가입하거나 로그인하는 사용자는 자신도 모르게 중국 내 계정을 만들게 돼 신원, 사용한 검색어, 온라인상에서 어떤 행동을 하는지가 중국 정부 시스템에 노출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