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부동산 개발 업체들의 채무 불이행 사태를 비롯해 중국의 경제 위기 우려가 확산하는 가운데 세계은행(WB)이 내년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4.4%로 하향했다.
2일 블룸버그통신과 CNBC방송 등에 따르면 세계은행은 이날 중국의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4월 발표 때와 같은 5.1%로 유지하면서도 내년 성장률 전망은 4.8%에서 4.4%로 바꾸며 0.4%포인트 내렸다. 전망치 하향 근거로는 부채 증가와 부동산 경기 둔화, 봉쇄 해제 이후 경기 부진 등을 들었다.
중국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파푸아뉴기니 등 태평양 도서국들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및 태평양(EAP)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률도 올해 전망치를 5.1%에서 5.0%로, 내년 전망치를 4.8%에서 4.5%로 하향조정했다. 세계은행은 “중국의 문제가 해당 지역 전체에 중요하다”며 “중국 성장률이 1% 감소하면 이 지역 성장률은 0.3%포인트 감소한다”고 말했다.
중국·태국·베트남 등에서 일반 정부 부채와 기업 부채가 빠르게 늘고 있다는 점도 우려되는 부분이다. 세계은행은 정부 부채가 많으면 민관 부문의 투자가 제한될 수 있고, 부채 증가로 인한 금리 상승 시 사기업들의 대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중국·말레이시아·태국 등에서 가계 부채가 비교적 많아 가계가 빚을 갚는 데 소득을 쓰면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