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인아 한양대 보건대학원 교수가 정부의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향을 반대하다가 ‘워킹 그룹’에서 중도 사임한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다.
29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발족한 미래노동시장 연구회에 참가한 전문가 12명 가운데 1명인 김 교수가 작년 11월 연구회에서 사임했다.
김 교수는 연구회가 추진하는 근로시간 제도 개편 방향에 동의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직간접적으로 나타냈던 것으로 전해졌다.
김 교수는 연구회 12명 중 유일한 보건학 교수였다. 당시 노동부도 '근로자 건강권 보호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보건 전문가를 포함하는 등 균형 잡힌 논의가 가능하도록 안배했다'고 설명했다.
연구회는 김 교수 사임 후인 작년 12월 노동 개혁 방안 권고문을 발표했는데, 여기에는 일주일에 최대 69시간까지 일하는 게 가능해지는 내용을 포함한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이 담겼다. 이를 두고 김 교수가 ‘주 69시간’ 개편안과 관련해 노동자의 건강권을 이유로 반대하다 관철되지 않자 중도사임 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노동부는 연구회 권고 내용을 대부분 받아들인 개편안을 이달 초 발표했다.
노동부는 일주일에 69시간 근무하는 것은 매우 예외적인 상황이며 일하는 전체 시간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강조했지만, 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장시간 노동'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윤 대통령이 보완을 지시한 상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