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내분비내과 고은희 교수와 이기업 명예교수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 있는 쥐의 간세포에서 SMS1의 발현이 증가해 간 조직에 염증과 섬유화가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번 연구에 함께 참여한 스페인 바르셀로나 국립연구소팀은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이 간암으로 진행돼 간이식을 받은 환자들의 간 조직을 분석했더니 모두 SMS1 발현이 증가된 상태였다.
SMS1은 생체막을 구성하고 필수 지방산을 공급하는 지질.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SMS1에 의해 만들어진 디아실글리세롤이 세포 죽음을 촉진하는 PKC-델타(δ), 염증·섬유화 반응을 유도하는 NLRC4 인플라마좀 유전자를 순차적으로 활성화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고은희 교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환자의 섬유화 진행 메커니즘(기전)이 밝혀짐에 따라 간경화로의 이행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치료제 개발이 활발히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은 알코올 섭취와 관계 없이 고지방 위주의 식사와 운동부족 등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간에 지방이 쌓이고 염증이 생긴다. 환자 5명 중 1명은 간이 섬유화돼 딱딱해지는 간경화나 간암으로 진행되며 이럴 경우 간이식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다. 비만 인구가 많은 미국을 비롯한 서구 국가에서 간경화와 간암의 주요 원인질환이다.
연구결과는 영국 위장병학회지(Gut, 피인용지수 19.819)에 발표됐다.
/임웅재기자 jae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