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는 인천시를 제외한 16개 광역 지자체가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2019~2022년)을 국무총리실 산하 사회보장정책 심의·조정기구인 사회보장위원회에 보고했다고 6일 밝혔다. 지역사회보장계획은 2007년부터 지자체가 4년 단위로 지역 주민의 욕구와 자원 등을 고려해 실정에 맞게 만드는 중장기 복지계획이다. 계획 수립이 늦어진 인천시는 이달 중 복지부에 제출할 예정이다.
16개 광역시도는 평균 54.4개씩 총 870개의 세부사업을 마련해 총 4조8,330억원의 예산을 책정했다. 서울(34.6%), 광주(17.3%), 경기(17.1%) 등 3곳의 예산이 전체의 70%를 차지했다.
영역별로 보면 돌봄이 21.1%로 추진전략이 가장 많았고 고용(13.3%), 건강(7.8%), 주거·전달체계·교육(각 6.7%) 순이었다. 생애주기별로 보면 ‘전 생애’를 대상으로 사업을 계획한 곳이 절반 이상이었고 다음으로는 성인 대상이 많았다. 아동청소년(광역시 14.1%)과 노인(광역도 12.8%) 특화 사업은 각각 세 번째였다.
/세종=빈난새기자 binthe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