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리베이트 의혹의 불길이 ‘안철수 책임론’으로 이어져 그의 대권행보까지 위협하고 있다.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는 “책임을 회피하지 않겠다”며 배수진을 쳤지만 논란이 사그라들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안 상임공동대표는 28일 의원총회가 끝난 뒤 기자회견에서 “당의 최고 책임자로서 책임을 통감하고 회피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당에서는 적극 만류하고 있지만 대표직 사퇴도 검토대상의 하나로 읽힌다.
검찰은 리베이트 의혹과 관련해 안 상임공동대표의 최측근 두 명을 조사했고 한 명은 구속시켰다. 안 상임 공동대표를 둘러 싼 책임론이 불거질 상황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한 것이다.
안 상임공동대표가 대표직 사퇴까지 시사한 것은 검찰의 수사 전개과정이 심상찮다는 판단 때문이다. 구태 정치의 표상인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에 측근들이 연루되는 것은 새정치를 들고 나온 그에게 치명적일 수 있다. 당 안팎에서 책임론을 끈질기게 물고 늘어질 경우 새정치의 이미지는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훼손된다. 따라서 먼저 대표직을 놓는 강수를 던져 추가적인 책임 추궁을 사전에 막겠다는 것이다.
다만 사퇴 카드를 던지더라도 사퇴가 현실화될 가능성은 적다. 안철수 상임공동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사퇴를 할 경우 향후 치를 전당대회를 준비할 구심점이 사라진다. 국민의당 의원들도 “당 체계를 잡아가고 있고, 전당대회를 치러야 하는 데 안 대표가 물러나선 안 된다”면서 “대표 책임론이 거론될 단계가 아니다”라며 그를 만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 상임공동대표는 29일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사퇴를 재논의한다는 입장이지만 최고위원회 역시 전체 의원들의 분위기와 상반된 결정을 내릴 가능성은 적다.
이에 따라 안 상임공동대표에게는 사퇴를 하지 않고도 책임지는 모양새를 만드는 것이 과제로 남았다. 안철수계를 퇴진시키는 전면적인 당직개편이 대안으로 거론되지만 당직개편만으로 안 상임공동대표가 충분한 책임을 다했다는 명분을 만들기는 어려워 보인다. 그는 지난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선거를 중도 포기하고 19대 국회 초기 창당을 시도하다 그만둬 우유부단하다는 비판을 산 전적이 있다. 책임지는 모양새를 만드는 데 실패할 경우 같은 비판이 반복될 가능성도 점쳐진다. /전경석기자 kadak@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