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9일 출범 1주년을 맞는 국민안전처의 그간 재난 안전 대응책 등에 대해 많은 시민은 실망스럽다는 평가를 내렸다.
12일 정부서울청사별관에서 열린 국민안전처 출범 1주년 정책토론회에서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안실련)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누리꾼 533명을 대상으로 한 자체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안실련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안전처 1년의 평가에 대해 설문에 참여한 시민들 중 13%만 안전처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반면 '매우 실망스럽다(15%)'와 '잘하지 못하고 있다(29%)'며 부정적으로 평가한 이들은 43%나 차지했다.
설문대상 중 18%는 안전처의 존재조차 알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안전처의 출범에 따른 기대치를 묻는 문항에서는 60%가 "큰 변화가 없거나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답을 했다.
또 우리 사회에 인재가 계속되는 이유로는 '사고에 책임지지 않는 문화'가 23%로 가장 높았다. 한편 정부가 조사하는 국민안전 체감도는 지난달 26.5%로 회복세를 보였지만 세월호 이전인 지난해 1·4분기 수준(32.5%)을 회복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윤호 안실련 실장은 "우리나라와 달리 영국 등은 사망사고를 낸 업체에는 회사가 망할 수 있는 정도의 무거운 벌금을 부과하는 것을 당연히 여긴다"면서 "안전에 관한 문화를 바꾸는 것이 안전처에 요구되는 역할"이라고 당부했다.
이날 안전처는 출범 이후 처음으로 소방·해경·군·각종 기반시설을 실시간 모니터할 수 있는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취재진에 공개하기도 했다.
이성호 안전처 차관은 "안전처는 요술방망이가 아니라 우리 노력 외에도 다양한 주체들의 지원과 협력이 필요하다"며 "출범 1주년 정책 토론회에 나왔던 내용을 토대로 안전정책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co.kr
12일 정부서울청사별관에서 열린 국민안전처 출범 1주년 정책토론회에서 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안실련)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누리꾼 533명을 대상으로 한 자체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안실련이 공개한 내용에 따르면 안전처 1년의 평가에 대해 설문에 참여한 시민들 중 13%만 안전처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반면 '매우 실망스럽다(15%)'와 '잘하지 못하고 있다(29%)'며 부정적으로 평가한 이들은 43%나 차지했다.
설문대상 중 18%는 안전처의 존재조차 알지 못한 것으로 집계됐다. 안전처의 출범에 따른 기대치를 묻는 문항에서는 60%가 "큰 변화가 없거나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답을 했다.
또 우리 사회에 인재가 계속되는 이유로는 '사고에 책임지지 않는 문화'가 23%로 가장 높았다. 한편 정부가 조사하는 국민안전 체감도는 지난달 26.5%로 회복세를 보였지만 세월호 이전인 지난해 1·4분기 수준(32.5%)을 회복하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윤호 안실련 실장은 "우리나라와 달리 영국 등은 사망사고를 낸 업체에는 회사가 망할 수 있는 정도의 무거운 벌금을 부과하는 것을 당연히 여긴다"면서 "안전에 관한 문화를 바꾸는 것이 안전처에 요구되는 역할"이라고 당부했다.
이날 안전처는 출범 이후 처음으로 소방·해경·군·각종 기반시설을 실시간 모니터할 수 있는 중앙재난안전상황실을 취재진에 공개하기도 했다.
이성호 안전처 차관은 "안전처는 요술방망이가 아니라 우리 노력 외에도 다양한 주체들의 지원과 협력이 필요하다"며 "출범 1주년 정책 토론회에 나왔던 내용을 토대로 안전정책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이완기기자 kingear@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