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27일에는 프랑스 마르세이유에 있는 CMA CGM을 방문, 지속적인 부산항 이용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하며, 인센티브제 개선 등 물동량 증대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28일에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있는 세계 1위의 컨테이너 선사, 머스크(Maersk Line)의 경영진을 만나 부산항에서 가장 많은 물량을 처리하는 데 감사의 뜻을 표하고 환적화물 추가 증대방안을 모색한다.
또 30일에는 독일 선사인 하팍로이드(Hapag-Lloyd)를 방문, 부산항의 물동량 현황과 신항 개발계획 등을 소개하고 글로벌 항만 도약을 위한 전략을 설명한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BPA는 영국 런던에서 로이드 리스트(Lloyd's List)와 씨 트레이드(Seatrade) 등 해운물류 전문지 기자 20여명을 초청, 부산항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
BPA는 계속되는 국내외 경기 불황에도 환적화물 유치를 위한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올해 부산항 물동량이 역대 최고치인 1,705만TEU를 기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기택 BPA 사장은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부산항의 물동량이 증가세를 이어가는 것은 환적화물이 뒷받침해주고 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선사들이 부산항을 환점거점항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