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25전쟁 당시 '탱크잡이의 명수'로 불리며 사병 출신으로 처음 태극무공훈장을 받은 이명수(88·사진)씨가 지난 5일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8세.
육군은 고인의 영결식을 김요환 육군참모총장이 장의위원장을 맡아 분당 서울대병원에서 8일 오전8시30분 '육군장'으로 거행한다고 7일 밝혔다.
중위 이하 계급에서 육군장을 거행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영결식을 마치면 고인은 국립서울현충원에서 영면한다.
고인은 1946년 10월 병으로 자원 입대해 1950년 6·25전쟁 발발 수개월 전에 전역했다. 전쟁이 발발하자 재소집된 고인은 일등상사로 임용돼 3사단 22연대 3대대 소대장 대리로 복무했다. 1950년 7월28일 영덕지구 전투에서 특공대장에 임명돼 대원 12명과 함께 목숨을 걸고 적진에 침투, 육탄으로 적 전차 3대를 격파하는 전공을 세워 탱크잡이의 명수로 불렸다. 고인은 이런 공훈을 인정받아 1951년 7월26일 사병 최초로 군인에게 가장 영예로운 훈장인 태극무공훈장을 이승만 초대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받았다. 1954년 장교로 지원해 육군 소위로 임관했으며 제6군단 수송중대장을 지내고 1963년 중위로 전역했다. 육군 3사단에서는 고인을 부대혼 정신의 상징적인 인물로 추앙해 기리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