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와 로이터통신 등 외신들은 19일(현지시간) 이란 정부가 원유 금수조치를 주도하고 있는 프랑스와 영국 석유회사들에 대해 석유수출 중단을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알리레자 니크자드 이란 석유부 대변인은 "영국와 프랑스 회사에 팔던 원유를 '새로운 고객'에게 팔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새로운 고객'이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았다.
현재 영국은 이란산 원유 수입을 하지 않고 있고, 프랑스 최대 정유사인 토탈도 지난해 12월 이미 수입을 중단해 이번 결정이 유럽 지역 원유 공급에 직접적인 타격을 주지는 않을 전망이다. 이미 유럽연합(EU)도 EU 회원국들에 이란산 원유수입을 금지하도록 하고 오는 7월1일까지 유예기간을 둔 바 있다.
그러나 이번 조치가 최근 서방세계와의 갈등 후 이란에서 나온 첫 조치인 만큼 파급력이 없지 않을 터라 주목된다. 특히 아직까지 이란산 원유를 수입하는 그리스와 스페인, 이탈리아 등에는 일부 타격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꾸준히 오른 유가를 더욱 끌어올릴 것이란 관측도 가능하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이란은 매일 50만배럴 가량의 원유 잉여분을 팔기 위해 중국과 인도 정유사들을 모색하고 있지만 쉽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란이 내달 중순까지 새로운 원유 수출국을 찾지 못하면 팔리지 않는 원유들이 부유식 저장 탱크로 들어가거나 생산 자체를 중단할 수 있으며 이는 유가 상승을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