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북한이 지난 3월26일 기자회견에 이어 4월2일 조평통 대변인 담화를 통해 또다시 북한에 억류된 우리 국민을 간첩으로 날조하며 우리 정부를 비난하고 위협을 일삼는 데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밝혔다.
그는 “나아가 해외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에 대해 ‘처단’ 운운하며 협박하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언동”이라며 “정부는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에 위해를 가하려는 어떠한 행위에 대해서도 단호하게 대처할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밝혔다.
임 대변인은 “북한은 누구도 수용할 수 없는 일방적이고 위협적인 주장만을 되풀이할 것이 아니라 이런 비이성적인 행태가 역사와 국제사회에 어떻게 기록되고 비쳐질 것인지 깊이 생각해 우리 국민의 인권을 유린하고 위협하는 언행을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억류된 3인의 석방과 송환을 재차 촉구하며 “북한이 국제관례와 인권보호 차원에서 인정되는 최소한의 기본적 절차인 가족과 변호인 접견 등도 허용하지 않고 우리 국민을 억류한 채 일방적인 주장만을 하는 것은 인도주의 정신에 정면으로 반하는 것”이라며 “정부는 국제사회와 함께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과 무사귀환을 위한 정당한 노력을 끝까지 계속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 대변인은 또 정례 브리핑에서 구체적인 석방 노력에 대해 “국제적십자위원회(ICRC)에는 일단 우리 정부의 협조를 요청하는 의사를 전달했다”며 “초기단계에서 구체적인 액션이 아주 진전이 많이 된 것은 아니지만 과거 김정욱 선교사의 사례에서 활용했던 외교채널과 국제기구를 통한 문제해결 노력을 이번에도 지속적으로 기울여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임 대변인은 북한 노동신문이 이날 제주 4·3 사건 67주년을 맞아 남한 내 반미투쟁을 선동한 것에 대해 “북한이 우리 내부 문제에 간섭하기보다 전 세계의 비판에 직면한 인권문제라든지 그런 데 좀 더 관심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인다”며 “우리 사회 내부문제를 시비하고 불순한 목적에 이용하려는 태도를 즉각 중단하라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디지털미디어부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