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국내증시최신순인기순

  • 상장사 70%, 작년 4분기 실적 기대 미달…올해 눈높이 줄하향 가능성
    상장사 70%, 작년 4분기 실적 기대 미달…올해 눈높이 줄하향 가능성
    국내증시 2025.02.02 18:01:54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한 상장사 10곳 중 7곳은 시장 기대치에 못 미치는 결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증권사들은 2차전지 사업 부진, 내수 침체 장기화 등을 이유로 올해 상장사 실적 전망치도 낮추기 시작하는 분위기다. 2일 금융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 3곳 이상이 실적 전망치를 제시한 국내 상장사 227개사 가운데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낸 곳은 50개사로 이 중 36개사가 해당 전망치보다 못한 영업이익을 공표했다. 특히 증권사들의 전망치를 10% 이상 밑돈 기업만 30개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시장 기
  • [스타즈IR] 현대제철, 봉형강 수요 회복…"영업익 89% 늘 것"
    [스타즈IR] 현대제철, 봉형강 수요 회복…"영업익 89% 늘 것"
    국내증시 2025.02.02 17:57:02
    현대제철의 올해 영업이익이 하반기 건설 경기 회복에 힘입어 지난해보다 대폭 개선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고 있다. 2일 금융정보 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 15개 증권사들은 현대제철의 올해 연간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평균 23조7053억 원, 5935억 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액 23조2261억 원, 영업이익 3144억 원보다 각각 2.06%, 88.9% 많은 수치다. 앞서 현대제철은 중국산 저가 철강 물량 공세, 부동산 경기 침체 장기화 등의 여파로 지난해 4분기 별도 기준 7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는 데 그쳤다
  • "백종원만 믿었는데 주가 참담"…'신저가 추락' 더본코리아, '빽햄' 논란까지
    "백종원만 믿었는데 주가 참담"…'신저가 추락' 더본코리아, '빽햄' 논란까지
    국내증시 2025.02.02 15:35:37
    백종원 대표가 이끄는 더본코리아가 주가 하락의 늪에 빠진 가운데 '빽햄 논란'이라는 돌발 악재에 직면했다. 백 대표가 본인의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직접 해명까지 나섰지만 화가 난 소비자들에게 기름을 부은 격이라는 평가와 함께 논란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2일 증권가에 따르면 더본코리아의 주가는 지난달 31일 종가 기준 3만500원으로 전거래일 대비 550원(1.77%) 하락했다. 장중 한 때 3만350원까지 주저앉으면서 연중 최저가를 기록하기도 했다. 백 대표가 출연한 넷플릭스 '흑백요리사'가 큰
  • [인사] 한국증권금융
    국내증시 2025.02.02 12:00:00
    ◇한국증권금융 <부서장 및 2급 승진> △꿈나눔재단 사무국장 김라현 △외화금융부장 장원준 △강남센터장 김태현 △플랫폼금융부장 염상훈 △영남센터장 김태현 △준법지원부장 민동원 △영업기획실장 서윤상 <부서장 전보> △심사부장 박찬익 △리스크관리실장 최등용 △투자금융부장 김태완 △수탁부장 박찬홍 △자산운용부장 이대웅 △증권중개부장 정상조 △총무부장 이종화 △자본시장금융부장 허준석 △디지털전략부장 유정호 △기획부장 이화수 △신탁부장 박미연 △투자전략실장 장승범 △경영관리부장 유정훈 △고객금융센터장 정지현 △우리사주부장 허명진 △홍보실장 최
  • 한국증권금융, 디지털 본부 신설…"AI 시대 대비 차원"
    한국증권금융, 디지털 본부 신설…"AI 시대 대비 차원"
    국내증시 2025.02.02 12:00:00
    한국증권금융이 2일 디지털 본부를 신설하는 등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증금은 이번 조직 개편에 대해 인공지능(AI)이 활용되면서 변화할 자본시장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 본부 신설에 따라 기존 6본부는 7본부로 확대하고 디지털 전략부, 외화금융부, 투자전략실 등도 신설해 기능별 조직 강화에 나선다는 설명이다. 성과중심 문화 정착을 위한 인사도 실시했다. 증금은 전문성과 리더십 등 역량중심 평가를 통해 우수한 인재를 핵심 부서장과 팀장으로 발탁하면서 조직 혁신의 추진력을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 6개월 연속 '국장' 탈출 외국인, 올해 돌아오긴 할까요 [선데이 머니카페]
    6개월 연속 '국장' 탈출 외국인, 올해 돌아오긴 할까요 [선데이 머니카페]
    국내증시 2025.02.02 11:00:00
    올해 1월 순매수 전환이 예상됐던 외국인이 딥시크발(發) 충격으로 31일 하루만에 1조 원이 넘는 물량을 팔면서 결국 순매도 기조를 유지했습니다. 외국인은 지난해 8월부터 한국 증시에서 매도 우위를 보이면서 6개월 연속 매도 행렬을 보였는데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긴 순매도세이기도 합니다. 오늘 선데이 머니카페에서는 외국인이 매도에 나서게 된 딥시크발 충격은 무엇인지, 향후 한국 증시에 남아있는 호재는 무엇일지 등을 한 번 짚어보겠습니다. 한국 증시 담던 외국인…딥시크발 충격에 매도 폭탄 1월 한국 증시가 양호한 성적표를
  • '딥시크 쇼크'에 급락한 전력주…"AI 수요 여전, 빠른 반등 예상" [다음주 증시 전망]
    '딥시크 쇼크'에 급락한 전력주…"AI 수요 여전, 빠른 반등 예상" [다음주 증시 전망]
    국내증시 2025.02.02 07:00:00
    딥시크발(發) 충격에 지난달 31일 국내 증시가 급락을 면치 못했지만 증권가에서는 이 같은 하락세는 일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인공지능(AI) 모멘텀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전력기기 관련 종목들의 주가는 빠르게 회복할 것으로 진단했다. 여기에 저비용·고효율 AI 모델의 등장은 상장사들에게 있어 비용 절감의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딥시크 이외에도 다른 AI 소프트웨어 기업들이 저비용·고효율 AI 모델을 내놓는 현상이 지속될 경우 반도체 기업들에게는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 SK하이닉스 시총 15조 증발…'딥시크 쇼크' 못 피했다
    SK하이닉스 시총 15조 증발…'딥시크 쇼크' 못 피했다
    국내증시 2025.01.31 17:44:24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발(發)’ 쇼크로 설 연휴 후 개장 첫날 SK하이닉스(000660)를 비롯한 AI 관련주들이 폭락했다. 딥시크가 내놓은 가성비 모델 ‘R1’이 AI 개발에 천문학적인 비용이 든다는 기존의 상식을 뒤흔들 수 있다는 우려감이 작용한 영향이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등장으로 국내 반도체 종목의 단기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AI 하드웨어의 독주에서 소프트웨어주로의 대장주 전환이 이뤄질 수 있다고 봤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9.43포인트(0.77%) 내린 251
  • 랠리 멈춘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 영향에 주가 변동성 커질 것"
    랠리 멈춘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 영향에 주가 변동성 커질 것"
    국내증시 2025.01.31 17:43:23
    티웨이항공(091810) 주가가 10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멈추고 31일 하락 마감했다. 경영권 분쟁 가능성이 불거진 뒤 올 들어 60% 넘게 오른 주가는 이날 역시 급등세로 출발했지만 차익 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반락으로 돌아섰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은 전 거래일 대비 5.11% 내린 39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직전 10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이어왔던 주가는 이날 역시 개장 직후 9% 넘게 급등했지만 이후 하락 전환한 뒤 주가를 회복하지 못한 채 장을 마쳤다. 티웨이항공 주가는 올 들어서만 62.5% 오르는 등 급
  • [펀드줌인] AI부터 전기차까지…테마 상관없이 글로벌 우수 기업 엄선해 투자
    [펀드줌인] AI부터 전기차까지…테마 상관없이 글로벌 우수 기업 엄선해 투자
    국내증시 2025.01.31 17:41:07
    최근 몇 년간 국내 증시가 박스권에 갇힌 채 지지부진한 흐름을 보이자 투자자들의 관심이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펀드로 몰리고 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 같은 시장 흐름을 일찍이 파악하고 미국과 중국, 일본, 캐나다, 호주, 홍콩 등 전 세계 16개 지역에 진출하며 해외 자산 운용 역량을 키워왔다. 전 세계 우수 기업을 선별해 투자하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의 ‘글로벌그로스’ 펀드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도 꾸준한 성과를 내는 이유다. 글로벌그로스 펀드는 출시된 지 10년이 넘은 장수 글로벌 펀드다. 해당 펀드는 섹터 내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 외국인 1.6조 매도폭탄 쏟아내…"단기 변동성 확대 불가피"
    외국인 1.6조 매도폭탄 쏟아내…"단기 변동성 확대 불가피"
    국내증시 2025.01.31 17:39:47
    딥시크발(發) 충격에 31일 국내 증시가 새파랗게 질렸다. 저비용·고효율 인공지능(AI) 모델을 중국이 내놓자 AI칩에 들어가는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만드는 SK하이닉스·삼성전자 등 반도체 대장주뿐만 아니라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전력설비주도 모두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구글·메타 등 미국의 빅테크들이 딥시크 출현으로 대규모 AI 투자에 신중한 입장을 보일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감이 직격탄이 됐다. 반면 AI 후발 주자도 저비용으로 고성능의 검색 도구를 만들
  • 기업공시[1월 31일]
    국내증시 2025.01.31 16:42:56
    <코스피 공시> ▲오뚜기(007310)=함영진 장내매도로 740주 감소, 지분율 0.02%p 감소 ▲삼원강재(023000)=1주당 110원 배당 결정, 배당금총액 44억 원 ▲삼성전자(005930)=1주당 363원 배당 결정, 배당금총액 2조 4543억 원 ▲기아(000270)=현대차증권과 400억 원 규모 MMT 매수 <코스닥 공시> ▲그린리소스(402490)=아시아에너지와 13억 원 규모 팜혼합물 공급 계약 ▲디엔에프(092070)=1주당 100원 배당 결정, 배당금총액 12억 원 ▲칩스앤미디어(094360)=한국투자증권과 맺은
  • 미래에셋운용 '美 AI 반도체 ETF', 순자산 3000억 돌파
    미래에셋운용 '美 AI 반도체 ETF', 순자산 3000억 돌파
    국내증시 2025.01.31 14:25:34
    미래에셋자산운용이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상장지수펀드(ETF)의 순자산이 3000억 원을 돌파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4일 기준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의 순자산은 3549억 원이다. 해당 ETF는 미국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중에서도 두각을 드러내고 있는 ‘브로드컴’과 ‘엔비디아’에 집중적으로 투자한다. 24일 기준 TIGER 미국필라델피아AI반도체나스닥 ETF 내 브로드컴과 엔비디아 편입 비중은 각각 19.0%와 18.2%로 전체의 40% 가까이를 차지
  • [주식 초고수는 지금] 저가매수 타이밍? '딥시크 타격' HD현대일렉트릭 순매수 1위
    [주식 초고수는 지금] 저가매수 타이밍? '딥시크 타격' HD현대일렉트릭 순매수 1위
    국내증시 2025.01.31 11:52:43
    미래에셋증권(006800)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24일 오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HD현대일렉트릭(267260)으로 나타났다. 2위와 3위는 하이브(352820), 삼성전자(005930)였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간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HD현대일렉트릭이다. HD현대일렉트릭은 최근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가 저비용 고성능 AI모델을 공개한 여파로 이날 오전 9%대 넘게 하락하고 있다. 대규모
  • [특징주] '딥시크 수혜주' 떠오른 네이버·카카오·크래프톤 강세
    [특징주] '딥시크 수혜주' 떠오른 네이버·카카오·크래프톤 강세
    국내증시 2025.01.31 10:44:54
    중국 오픈소스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 R1의 등장에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면서 관련 종목들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 39분 기준 유가증권시장에서 NAVER(035420)주가는 전일보다 6.13% 오른 21만6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같은 시각 카카오(035720)는 전장 대비 8.39% 오른3만8850원을 기록하고 있다. 게임회사 크래프톤(259960) 주가 역시 강세다. 크레프톤은 전일 대비 4.66% 오른 35만9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딥시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