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중투표제 의무화, 적대적 M&A 악용 위험"
증권 국내증시 2025.07.21 17:45:18더불어민주당이 추진 중인 집중투표제 의무화와 분리 선출 감사위원 확대 등 2차 상법 개정안이 본래 취지인 소액주주 보호보다는 기업가치 훼손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전 세계적인 기준과 동떨어진 제도일 뿐만 아니라 사모펀드나 투기 자본 등 다른 목적을 가진 세력이 악용할 가능성이 더 크다는 것이다. 21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한국상장회사협의회는 올해 4월 윤준병 민주당 의원이 상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하면서 집중투표제를 정관으로 배제할 수 없도록 하자 “최대주주에 대한 역차별이고 적대적 인수합병(M&A) 수단으로 악용될 위험이 있다”며 반대 의견을 냈다. 해당 법안은 대안 반영 폐기됐으나 민주당은 집중투표제 등 반영되지 않은 제도를 모아 재추진하기로 한 상태다. 집중투표제는 소액주주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이사 2명 이상을 선임할 경우 주식 1주마다 선임할 이사 수만큼 의결권을 부여한다. 각 주주가 보유한 의결권을 특정 후보자에게 몰아줄 수 있기 때문에 소액주주가 원하는 후보의 이사회 진입이 쉬워진다. 대부분 기업들은 현행법에 따라 정관을 통해 이를 배제하고 있다.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공시 대상 기업집단 80개 소속 상장사 344개 중 집중투표제를 도입한 곳은 13개사(3.8%)에 불과하다. 이는 집중투표제가 2대 또는 3대 주주가 이사회 다수를 차지할 수 있어 자본 다수결 원칙에 반할 뿐만 아니라 경영권을 공격하는 세력에 유리한 제도이기 때문이다. 현재 집중투표제를 의무화한 국가는 러시아·멕시코·칠레뿐이고 미국·일본 등은 강제했다가 경영 비효율 등의 부작용을 겪고 나서야 자율 규제로 전환했다. 대형 회계법인의 한 관계자는 “기업 지배구조의 핵심 지표 가운데 준수율이 가장 낮은 항목이 집중투표제인 것을 비춰보면 상장사들이 얼마나 부담스러워하는 제도인지 알 수 있다”고 평가했다. 분리 선출 감사위원 수를 1명에서 전원으로 확대하고 최대주주 의결권을 제한하는 ‘3%룰’과 함께 집중투표제를 시행하면 경영권 위협 정도는 더욱 커진다. 대주주 의결권은 3%로 제한되지만 외부 세력은 지분 쪼개기를 통해 이사회에서 다수를 차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액주주 보호가 이뤄질 수 있을지 확실하지 않은 상황에서 이사회 작동을 막고 경영 정보를 유출해 기업 경쟁력만 깎아내릴 수 있다. 실제로 미국 헤지펀드인 엘리엇 매니지먼트가 2019년 3월 현대차에 수소연료 사업 경쟁사의 최고경영자(CEO)를 사외이사로 추천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감사위원 선임 과정에서 최대주주 의결권을 제한하는 해외 사례도 전무하다. 상장협 관계자는 “자본 기여량에 따라 권리와 책임을 부담하는 물적 회사에서 가장 크게 자본적 기여를 한 대주주 권리를 제한하는 건 해외 주요국과 비교하더라도 근원을 찾을 수 없는 기형적인 재산권 침해 규정”이라고 지적했다. -
매일 한 건씩 나오는 상법 개정안…모호한 개념에 기업 '우왕좌왕'
증권 국내증시 2025.07.21 17:42:53최근 주가 상승에 고무된 더불어민주당이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 도입 이후 자사주 의무 소각 등 각종 상법 개정안을 빠르게 밀어붙이면서 현장에서 법규를 준수해야 하는 상장사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모든 주주의 공평한 대우라는 모호한 개념을 정관 등에 반영해야 할 뿐만 아니라 자사주를 소각해야 하는 시점 등을 놓고 고민이 깊어지는 실정이다. 21일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달 9일부터 17일까지 자본시장과 관련한 상법 개정안만 7건이 발의됐다. 특별배임죄를 삭제하는 김태년·차규근 민주당 의원안을 제외하면 자사주 의무 소각 관련 법안 3건(김남근·김현정·차규근)과 권고적 주주 제안권(이소영), 집중투표제 의무화 및 감사위원 전원 분리 선출(신장식) 등으로 대부분 소액주주 보호와 관련한 내용이다.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법안이 발의된다는 비판마저 나온다.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 등을 담은 1차 상법 개정안이 이달 3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15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되자마자 2차 상법 개정안을 추진하면서 관련 내용을 다루는 각종 세미나마다 기업 관계자들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 자체가 모호한 개념인 데다 당초 예상하지 못했던 사외이사인 감사위원에 대한 최대주주의 3%룰 도입, 독립 이사 변경 및 의무 선임 비율 조정, 전자 주주총회 도입 등 새로운 내용이 대거 포함돼 대응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달 29일 서울대 금융법센터가 주최하는 ‘이사 충실 의무 도입에 따른 실무상 쟁점’ 세미나는 일정이 공개되자마자 마감됐다. 선관주의의무와의 관계부터 배임죄, 주주 손해배상 청구 등 전체적인 내용부터 물적·인적 분할, 경영권 방어, 자진 상장폐지를 위한 공개매수 등 개별 사안에 대한 쟁점을 두루 다룰 예정이다. 같은 날 한국상장회사협의회가 개최하는 ‘개정 상법 실무 이슈 및 대응 설명회’도 250명 정원이 꽉 찼다. 상법 개정에 대한 실무 대응 방안을 설명하는 자리인 만큼 기업 담당자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법무법인과 회계법인 등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법무법인 세종은 이달 4일 ‘기업지배구조 전략센터’를 출범하는 동시에 상법 개정 관련 세미나를 열었는데 접수 시작 10분 만에 현장 참석이 마감됐다. 삼일PwC 거버넌스센터도 11일 웨비나를 열고 개정 상법 내용을 해석하고 기업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한국경제인협회는 24일 법무법인 광장의 회사법 전문 변호사들과 함께 기업의 준비 사항을 설명하기로 했다. 상법 개정 이후 기업 관계자들이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지점은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를 어떻게 현실화하느냐는 것이다. 최대주주와 소액주주를 공평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개념 자체가 다소 모호한 측면이 있기 때문이다. 공평한 대우를 어떻게 평가하고, 지분율에 따른 실질적 대우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지 등 형식적이고 실질적인 내용까지 모두 고려해야 한다. 합병·분할·유상증자 등 기업의 자본 구조를 변경하는 의사 결정은 더욱 접근이 어렵다. 주주 충실 의무를 반영하려면 정관을 바꿔야 하는데 이는 주총의 특별 결의 대상이다. 홍지윤 삼일PwC 파트너는 “소송은 우발 사건이고 상존하는 리스크가 아닌 만큼 지나치게 매몰돼 필요한 준비를 놓치면 안 된다”며 “절차를 일관성 있게 관리하되 주관적 감정 등 불만은 주주 소통을 전담해 고객서비스(CS) 차원에서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상장사 입장에서는 이사의 주주 충실 의무보다 부담스러운 것이 자사주 의무 소각이다. 자사주를 모두 소각할 경우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지분이 33% 미만으로 하락하는 곳이 871개사로 추산될 만큼 경영권 위협에 즉각 노출되기 때문이다. 주주 권익 침해 논란 등으로 교환사채(EB) 발행 등 자사주 활용 계획도 쉽지 않은 분위기다. 문제는 국회에 제출돼 있는 자사주 의무 소각 법안만 3건인 데다 각각 취득 후 소각 기간이 3년(김현정), 1년(김남근), 6개월(차규근) 등으로 제각각이라는 부분이다. 기보유 자사주 처리 방법이나 자사주 보유가 가능한 요건도 모두 다른 만큼 추후 논의 과정에서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특히 상법 개정안이 쏟아지자 현재 자사주를 보유 중인 상장사들은 대처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이다. 유가증권 상장사의 한 관계자는 “자사주를 모두 없애라고 하는데 언제까지 소각해야 할지, 소각 이외 다른 방법으로 보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알 수 없어 답답한 상황”이라고 털어놨다. -
기업 공시[7월 21일]
증권 증권일반 2025.07.21 16:36:59<코스피 공시> ▲삼성중공업(010140)=삼성전자(005930)와 3926억 원 규모 P4 Ph4(상동) 마감공사 공급계약 체결 ▲씨에스윈드(112610)=미국 Vestas American Wind Technology와 824억 원 규모 윈드 타워 공급계약 체결 ▲우진아이엔에스(010400)=신세계건설과 119억 원 규모 스타필드청라현장 일반설비공사(4공구) 수주 공급계약 체결 ▲동부건설=1001억 원 규모 개포현대4차아파트 소규모재건축정비사업 시공자 선정 ▲삼일씨엔에스=에이치에스화성과 460억 원 규모 시화 MTV FC 신축 현장 PC 납품 및 조립 공사 공급계약 체결 ▲한솔제지(213500)=신탄진공장 사고발생에 따른 전공정 작업 중지 ▲셀트리온(068270)=100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세방(004360)=45억 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24억 규모 기취득 자사주 소각 결정 <코스닥 공시> ▲브이엠=SK하이닉스와 168억 원 규모 반도체 제조장비 공급계약 체결 ▲케이쓰리아이(431190)=경북 포항시와 20억 원 규모 전시물 설계 및 제작설치 용역 공급계약 체결 ▲서전기전(189860)=한국전력공사와 258억 원 규모 거래중단 ▲감성코퍼레이션(036620)=60억 원 규모 자사주 소각 결정 ▲티쓰리(204610)=3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린드먼아시아(277070)=10억 원 규모 자사주 취득 신탁계약 체결 ▲하이비젼시스템(126700)=45억 원 규모 자사주 처분 결정 ▲푸드웰(005670)=109억 원 규모 코스팜 주식 취득 결정 ▲스튜디오산타클로스(204630)=110억 원 규모 단기차입금 증가 결정 ▲도우인시스=신규 상장 -
1%대 금리 시설자금 대출…企銀, 2조 창업기업 지원
경제·금융 은행 2025.07.21 14:59:14IBK기업은행이 연 1%대 금리로 창업 기업에 시설자금을 대출해준다. 기업은행은 이달 25일부터 창업 기업의 사업장 마련 같은 설비투자를 지원하기 위해 총 2조 원 규모의 ‘창업기업 설비투자 특별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21일 밝혔다. 2조 원의 자금 가운데 1조 8000억 원은 시설자금 지원에 투입된다. 창업 7년 이내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들이 임대료 부담에서 벗어나 안정적 사업 운영에 매진할 수 있도록 사업장 최초 구입 시 금리를 최대 1.5%포인트 깎아준다. 지방자치단체의 이차보전과 연계할 경우 최대 2%포인트의 추가 금리 감면을 받을 수 있어 최대 3.5%포인트까지 금리를 낮출 수 있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창업 기업은 1%대 초저금리로 시설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경상남도와의 이차보전 업무협약을 시작으로 향후 경기도 등 다른 지자체로 협약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설비투자 이후 필요한 원자재 구입비와 인건비 등 운전자금도 지원한다. 이를 위해 기업은행은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과 2000억 원 규모의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 협약을 통해 최대 1.3%포인트 금리 감면과 최대 0.5%포인트 보증료 감면을 지원한다. 김성태 기업은행장은 “창업 기업에 생애 첫 사업장을 마련하는 상징적인 의미가 크다”며 “앞으로도 창업 생태계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KB국민은행 역시 기술보증기금과 중소·벤처기업 금융 지원과 관련해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이날 밝혔다. 협약을 통해 KB국민은행은 총 50억 원을 출연하고 보증서를 담보로 약 1400억 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한다. 지원 대상은 인공지능(AI)·반도체·제약·바이오·신재생에너지 등이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