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연구원이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국립해양조사원, 충남연구원과 8일 프레이저 플레이스 센트럴 서울 호텔에서 ‘백중사리 대비 해안침수 예방 공동세미나’를 개최했다.
백중사리는 연중 바닷물 높낮이(조차)가 크게 나는 때로, 올해는 9월8일~9월11일이 백중사리다.
이 세미나에서 기조강연은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강석구 책임연구원이 ‘한반도 주변 조석 특성’을 주제로 진행된다.
이어 제1세션에서는 △조석 관측 및 조위 정보 서비스(국립해양조사원 복진광 사무관) △해안침수 대응을 위한 재해지도(국립해양조사원 이화영 연구사) △백중사리 피해 및 현장조사 고도화 방안(국립재난안전연구원 박형성 연구사) 등 백중사리 관련 기관별 주요 업무 소개가 있다.
제2세션에서는 △대조기 우리나라 항만시설 방재 정책(해양수산부 문승록 서기관) △인천 옹진군 대조기 침수 및 대응 사례(인천연구원 배덕상 연구위원) △충남 보령시 해수 범람 현황 및 대응 사례(충남연구원 윤종주 연구위원) 등 지역별 피해 및 대응 사례를 공유한다.
박호군 인천연구원장은 “해안침수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단순한 시설 확충을 넘어 예측, 대비, 대응, 복구 전반에 대한 관리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라며 “중앙, 지방, 민간 간 긴밀한 협력체계와 지역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이 병행돼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 추세를 고려할 때, 적응적 관리전략과 중장기적 관점의 연안지역 공간계획을 통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