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현황 파악에 처음으로 착수했다. 올해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를 중심으로 집값이 단기간에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자 부동산 관련 조직을 확대한 데 이어 금융권과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15일 서울시에 따르면 주택정책지원센터는 최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 주택담보대출 현황 조사 협조를 요청했다. 서울시가 시중은행을 대상으로 부동산 관련 대출 현황 파악에 나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안정대책 연구를 위해 주택 시장 동향을 모니터링하려는 것”이라며 “주기적으로 대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체계 구축도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서울시는 금융위원회가 발표하는 가계대출 동향 등을 통해 시중은행의 주택 관련 대출 현황을 파악했다. 그러나 토허구역 해제 및 재지정 이후 집값 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커진 만큼 자체 데이터 확보가 필요해 이 같은 조치를 취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이달 중 기존 주택정책지원센터를 부동산 정책개발센터로 확대 개편할 예정이다. 센터 내 신설되는 부동산금융분석팀은 시 도시공간본부 토지관리과에서 담당했던 부동산 시장 동향 분석과 거래 상황 조사 등 업무를 이관해 집중 관리할 계획이다.
시는 이번 자료를 토대로 차주의 연령대·매수 지역·대출 비중 등을 비교 분석한 뒤 이를 부동산 정책에 반영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다주택자들이 신규로 취득한 주택과 관련한 대출 데이터 등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볼 것으로 전해졌다. 시 부동산 정책개발센터에서 분석한 자료는 올해 9월 말 토허구역 재조정 시 근거로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 올해 3월 24일부터 시행된 강남 3구와 용산구 내 아파트의 토허구역 지정 기간은 오는 9월 30일까지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단순 집값의 상승 폭뿐 아니라 매매 시장의 큰손이 된 30~40대의 대출 비중 등도 시의 집값 집중 관리 타깃 지역이 되는 이유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가 부동산 조직 및 업무 확대에 나서는 건 토허구역 해제 및 재지정 과정에서 시장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온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오세훈 서울시장은 올해 3월 토허구역에 따른 시장 혼선에 대해 사과하며 “앞으로 주요 부동산 정책 추진 시 주택시장과 거시경제 동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해 정확한 판단과 예측으로 시민 경제와 일상을 좀 더 정교하게 지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에 따르면 지난달 말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 잔액은 588조 3878억 원으로, 전월(585조 6805억 원)보다 2조 7073억 원 늘었다. 올해 1월 주담대 잔액은 전월 대비 1조 5136억 원 증가했지만 잠실·삼성·대치·청담 지역이 토허구역에서 해제된 2월에는 전월 대비 3조 3836억 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