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지방 미분양 아파트 매입 사업에 총 3536가구의 매입 신청이 접수됐다. 정부 목표치인 3000호를 웃도는 규모다.
LH는 4월 1일부터 한 달간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에 대해 매입 신청을 받은 결과, 총 58개 건설 업체가 3536호의 주택을 접수했다고 1일 밝혔다.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가 약 11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하자 정부는 2월 지방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를 3000호 사들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정부가 미분양 주택 매입 카드를 꺼내 든 것은 2010년 이후 15년 만이다.
지역별로 보면 부산에서 11개 업체가 783가구를 신청했다. 이어 △경북 564가구(신청 업체 5곳) △경남 531가구(6) △충남 383가구(5) △대구 286가구(9) △전남 252가구(7) △충북 145가구(2) △제주 126가구(3) △전북 124가구(2) △강원 110가구(2) △울산 91가구(2) △대전 83가구(2) △광주 58가구(2) 순이다.
면적별로는 전용 면적 60~85㎡의 주택이 3124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60㎡ 이하 주택은 412가구였다.
LH는 매입 신청 주택에 대해 5월 서류 검토와 현장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6월 매입 심의를 진행해 매입 적격 주택을 선별할 예정이다. 심의까지 통과한 주택은 건설·시행사의 매도희망가격을 검증해 매입 여부를 최종 결정한다. LH의 한 관계자는 “외부 전문가를 포함해 매입심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수요평가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며 “우량 주택을 선별적으로 매입해야 매입 후 공실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